페미니즘 신간을 읽다  재미있어 서재에 소개하려고 컴퓨터를 켰다. 혹시 누군가 내가 알리고 싶은 내용을 미리 적었을 것 같아 얘기했을 것 같아 리뷰랑 페이퍼를 읽다 왠지 뿌듯. 내가 공감한 내용을 적어놓은 글들이 있다.

 

 

 

 

 

 

  호주의 유명한 정치평론가 애너벨 크랩의 <아내가뭄>은 서문부터 재미있다. 영화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이며 신랄한데도 재미있는 버전인데 정희진 선생님의 황송할만한 추천사 때문에 읽고 싶어 안달날 정도였다. 책에서 한부모에 대응하는 단어로 부모가 아니라 두부모라는 용어를 쓴달지, 여자에게 유독 아내가 없는 이유를 가뭄으로 표현한 부분이 좋았다. 호주식 유머?도 간간히 섞여 있다. 무해한 유머의 매력은 말 안 해도 알 것이다.

 

지금 식당에 있는 남자들 중에 집에 아내가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아이들을 학교에서 데려오고, 마룻널 틈에 낀 고무찰흙을 백만 번쯤 파내고, 아이를 병원에 데려가고.... 아내가 있는 남자들은 오후 2시 45분이 주는 어렴풋하지만 늘 존재하는 신경의 압박을 받을 필요가 절대 없다. (아이들이 집에 올 시간)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아내가 있으니까. 나는 식당에 있는 여자들을 둘러봤다. 여자들의 정신이 약간 다른 데 팔여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은 그저 내 상상일까? 아니면 제대로 본 것일까? -서문 중에서

 

 서문을 지나며 여러 통계자료를 인용하면서 약간 속도감이 떨어진다. 어쩌면 서문에서 할말을 다 한건지도 모른다. 여성이 집 밖으로 나가 경제활동을 하며 자신의 역량을 발휘한 건 페미니즘의 성과지만 여자들이 부담하는 가사/육아노동은 하나도 나눠지지 않았다. 예전보다 나아졌다고 하지만 남자들의 가사분담은 성에 안차며 여전히 곁다리로 생색내며 거드는 느낌이다.

 

 언제쯤 집에 있어도 경치 좋은 펜션에 놀러갔을 때처럼 한가한 시선으로 집을 둘러볼 수 있을까. 집에 있으면  a의 눈에 안 보이는 더러움과 때와 손볼 곳이 보인다.그 모든 일을 하자니 성가시고 적성에도 안 맞는다. 모른척하자니 계속 눈에 보인다. 결국 나는 울화통이 터져 자주 밖에 나가게 된다. a는 한다고 하는게 딱 성의를 보이는 수준일 뿐 더 나아질 기미가 안 보인다. 그래도 요샌 레벨업된 상태라 내가 뭔가를 하고 있으면 자기 할 일을 찾긴 한다. 여기까지 오는데도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동안 협박과 자포자기, 설득과 망연자실이 한몫했다.

 

 

 

 

 

 

 

 

 독일의 커뮤니케이션 전문 코치인 니콜 슈타우딩거의 책. 책 제목에서 무슨 내용인지 다 상상이 갔지만 생각보다 통쾌하다. 고구마 몇개 먹은 것처럼 답답한 상황에서 말문이 막혔던 경험 다수 보유자로서 막 신나서 맞장구를 쳤다. 책에선 재치있게 받아치기, 아이러니로 대응하기, 온화하게 웃으며 넘기기 등 실전에서 쓸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나왔다. 물론 기술을 익히는 것보다 중요한 건 나 자신의 자존감을 높여 자신있게 사는 것이지만.

 

 나는 언제가부터 화장을 안 해서 이제는 거의 안 하고 머리카락도 귀찮아 컷트로 잘랐다. 시골이라 가능한 삶일지 모른다. 도시였다면 외모품평에 자기검열, 상대와 비교까지 스스로 탈탈 털었을테니. 나는 지금 이 상태가 좋고 자연스럽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며칠 전 밖에 나갔다 손질 안 한 머리를 보고선 '촌년 같잖아'라고 무심하게 얘기하는 사람을 만났다. 이 책을 읽었더라면 그윽하게 바라보며 웃거나 재치있고 시원한 한방을 날렸을텐데 그냥 수긍하면서 '촌에 사니까 촌년이죠' 하고 말았다.

 

 나란 사람은 하나의 정체로 규정되는게 아니라 여러 관계를 통해 재정립된다. 엄마일 때의 나와 글을 쓰는 나, 도서관에 민원을 제기하는 나, 기타를 치면서 노래할 때의 나는 성질뿐 아니라 감정과 기분도 각기 다르다. 그래서 내가 속한 환경과 만나는 사람이 중요하다. 하지만 또 내가 중요하다. 윙? 내가 어떤 환경에 있고 무슨 말을 듣든 나는 나 자체로 괜찮은 사람이니까, 란 자신감이나 자기애. 그런데 촌년이란 말에 휘둘리는걸 보면 난 아직 나를 괜찮다고 생각하지 않는건가? 아니면 너무 훅 들어온걸까. 어느 자리에선 내가 그 사람처럼 훅 들어가는 역할이었다면 지금은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는게 내 역할인가.

 

 그런데 왜 페미니즘 책들, 이렇게 분홍분홍한거냐.

새빨갛거나 파랗고 노란, 흰색이나 검정색은 못쓰는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