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아는 동생에게서 전화가 왔다. 동생은 아기 돌보는 게 힘들지 않냐고 물었다. 자기 주위 친구들 보니까 다들 우울하고 힘들어해서 언니 생각이 났다고 한다. 나는 힘들긴 해도 즐겁고 행복하다는 말을 했다. 그리고 덧붙이길 이 나이에 아기를 낳아서 참 다행이라고 했다. 젊었을 때 아기를 낳았다면 이만큼 안정적이고 여유 있지는 않았을거라고 말이다. 젊었을 때는 다른 선택에 대한 기회비용도 생각했을거고 나 하나도 벅차고 고민이 많던 시기라 아이를 감당할 수 없을 것 같아서 한 얘기였다.

 

 

 다음날, 말을 탄 건지 날이 흐려서 그런지 전과 다르게 아기가 칭얼대고 우는 게 장난이 아니었다. 낮잠을 1시간 넘게 자던 아기는 30분도 안 돼 깨고 맘마도 업어주는 것도 맘에 안 드는지 계속 울었다. 밤에는 생전 처음 들어보는 소리로 고함을 지르며 우는데 무슨 일이 난 게 아닐까, 어디 아픈가 걱정하다 그건 또 아닌 것 같아 달래고 어르다 그것도 소용이 없어 그냥 아이를 가만히 내버려뒀다.

 

 

 책임감은 영어로 responsibility이다. 책임감은 곧 응답하는 능력, response와 ability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어느 기사에 나온 말처럼 아기의 욕구와 상황에 응답하는 능력이 떨어지면 책임감 없는 학대와 다를 바 없다고 한다. 악을 쓰며 우는 아기를 보며 아동학대와 나 사이에 한끝 차이도 안 난다는 자책감에 우울했다. 몸이 쑤시고 스트레스로 어깨까지 아프니 더 우울했다. 지금 아기를 낳아서 여유가 있고 아기를 통해 성숙해지긴 개뿔.

 

 밤에도 몇 번을 깨며 피곤에 피곤을 한 무더기로 안겨준 아기는 다음 날 생글생글 웃으며 엄마를 바라봤다. 머릿속으로는 ‘응답해, 응답해’라고 외쳤지만 진짜 썩소도 안 나왔다. ‘엄마는 이렇게 피곤한데 너는 잘 잤다고 웃는구나, 오늘은 또 어떻게 할거냐.’ 무표정한 얼굴로 아기 기저귀를 갈고 우유를 먹이며 다시 맘을 다잡았지만 오후가 되도록 맘이 말랑말랑해지지 않았다.

 

 결국 난 비교적 순한 아기를 만나서 괜찮았던거지 사람 자체가 성숙해서 책임감있게 아기를 돌본게 아니었다. 아기와 함께 성장하리란 청운의 꿈은 잠시 접고 시시때때로 환하게 웃고 눈 마주치며 사랑스러운 눈빛 쏴주는 연습이나 해야겠다. 세파에 시달려(?) 어찌나 얼굴 근육이 굳어버렸는지 웃어도 환한 표정보다 묘하게 일그러진 얼굴이 되고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