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쿠처럼 경쾌한 문장들.

 몇개의 글을 읽고 단박에 떠오른 정의였다. '포스터를 훔쳐라'가 디자인을 매개로 힘있고 재치있는 문장이었다면 '마카로니 구멍의 비밀'은 '디자인의 디자인' 의 함축본 같은 느낌. 겹치는 내용도 많고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알고 싶다면 디자인의 디자인을 읽어야 한다. 이 책은 굉장한 세련미를 풍기는 게 아니라 기본에 충실하고 그 자체로 충만한 피사체에 대한 이런저런 단상이 적혀 있다. 한번에 후루룩 읽기보다는 며칠에 걸쳐 야금야금 읽어야 제맛이 난다.


 그 중에 오랜만에 책을 읽으며 공감한 구절


 그런데 그것을(방뇨를) 대자연에서 즐기면 어떨까. 기분이 정말 상쾌하다. 그것을 취미라고 표현하기는 그렇지만 나는 대자연을 향해 방뇨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 기억을 되씹어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느낌이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소가 사하라 사막이다. 광고 사진 촬영 때문에 제작진 몇 명과 함께 튀니지아의 사하라로 갔다. 저 멀리 지평선을 넘어 끝없이 이어져 있는 드넓은 모래 언덕, 당연히 화장실은 없다. 사람들의 눈을 피하기 위해 10미터 정도의 모래 언덕을 두 개 정도 넘자, 사막에는 나 혼자 우뚝 서 있다. 눈앞에 펼쳐져 있는 것은 모래와 하늘뿐.

 사하라의 사막은 모래라기보다 파우더라고 부르는 쪽이 더 어울릴 정도로 모래알이 곱다. 두 손으로 퍼서 허공에 던지면 그 자리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면에 희미한 그림자를 만든 후 허공으로 흩어져 사라진다.

 그런 사하라의 대지를 향해 방뇨를 하는데 그것이 모래에 닿는 광경이 특별하다. 건조한 모래가 완벽하게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표면에는 아무런 흔적도 남지 않는다. 지면에 접하는 순간 모래에 완전히 빨려 들어간다. 그것은 정말 묘한 감촉으로, 마치 지구와 나의 내장이 하나의 끝으로 연결되어 자연이 나의 몸속에 있는 것들을 순식간에 빨아들이는 듯한 느낌이다. 나의 귀중한 수분에 사막 안의 생물들이 반응하고, 그것을 향해 맹렬한 속도로 땅속을 이동해온다. 그 이미지는 곧 강한 공포로 바뀐다.

 망상에 전율을 느끼며 서둘러 볼일을 끝낸 나는 그 자리를 도망치듯 모래 언덕을 올랐다. 언덕 위에서 돌아보니 바람의 무늬가 새겨진 사하라의 웅대한 경관 속에 발자국이 점점이 이어져 있다. 그것은 두려움도 안겨주지만 자연과 생생하게 교류했다는 실감을 새겨주었다.

 아마 화장실이라는 것도 '처리'가 아니라 '행위'를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장치로 변할 것이다. 언젠가 틀림없이 그런 디자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막에서의 체험을 되씹어보면서 또 하나의 망상을 떠올려본다.


 배변활동을 처리가 아닌 행위자체의 풍요로 느낀 건 여러차례의 노상방뇨 경험을 통해서였다. 화장실이 더럽거나 남녀공용이라 변기 주변에 오줌이 튀어있을 때는 차라리 밖에서 일을 보는 게 나았다. 옆지기가 있으면 망을 봐달라고 했고 혼자면 골목 사이로 들어가 일을 봤다. 졸졸졸 오줌이 시멘트 바닥을 타고 흐른다. 변기 위에 떨어지는 단조로운 소리가 아니라 그날 몸 상태와 양에 따라 소리가 달라졌다.


 자연에서 방뇨를 적극적으로 하기 시작한 건 야외활동을 자주 하면서였다. 마땅한 화장실이 없기도 했지만 우스개소리로 하는 '산과 들이 다 화장실이지' 싶기도 했다. 풀 숲에서, 나무 그늘에서, 풀에 엉덩이를 찔려가며 오줌을 쌌다. 혹시라도 일행에게 보일까 깊숙한 곳으로 몸을 숨겨 일을 치르면 때때로 묘하게 짜릿했다. 오랫동안 참고 있던 소변을 밖으로 내보냈을 때 느끼는 쾌감과 비슷하다. 밤의 방뇨도 인상적일 듯하다. 하얀 보름달 같은 엉덩이가 땅바닥에 아른거리다 사라지는 모습이라.


 생태 귀농, 생태 화장실 얘기를 많이 들었고 오줌과 똥을 활용하는 법에 대해 책으로도 읽고 실제 생태 화장실을 보기도 했다. 그런데 아주 적극적인 형태의 생태 화장실을 얼마 전에 봤다. 작은 형태의 생태 화장실은 모르겠는데 실상사 화장실은 규모가 남달랐다. 칸막이로 나눠진 화장실에서 노상방뇨보다 더 극적인 경험을 했다. 일을 보는 자리는 나눠져 있지만 아래는 완전히 뻥 뚫렸다. 오줌은 조준을 잘해서 따로 받는 통이 있고 똥은 허허벌판에 '똥'하고 싼다. 가끔 누군가 똥을 왕겨로 덮어서 발효시킨다. 


 화장실 안에서는 내가 배출한 물질을 어딘가에 담는다. 하지만 노상이나 생태 화장실에는 담는 통이 없다. 흐르거나 떨어진 형태로 남아있다. 똥과 오줌을 얼른 씻어야하고 치워야하는 문화에서는 이 행위 자체의 의미를 헤아릴 수 없다. 그저 눈 앞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처리만 남을 뿐이다. 처리하지 않고 변기에 남은 똥과 오줌은 역겹다. 


 산뜻하게 시작했는데 어디에서 끝내야할지를 모르겠다.


 참고로 마카로니에 난 구멍은 마카로니를 잘 익히고, 소스를 묻힐 수 있는 표면적을 만들고, 만들기 쉬운 형태가 필요해서 생긴거라고 한다. 물론 음식이기 때문에 맛있게 보여야 한다는 점이나 질리지 않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것도 중요하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마카로니 하나에도 디자인의 총합 같은 게 들어있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