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랭 비키니 선거운동 기사를 보다가 누군가 변희재 운운하는걸 보고 얻어걸린 동영상.
연예인의 사회 참여 발언, 운동이 정파에 영향을 받고 이는 나중에 차기 정권 때 잘 보여서 좋은 자리 꿰차려는 의도라고 보는 변희재에게 대체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된거죠라고 묻는 대신 강용석, 전여옥, 나경원이랑 친구라면서 왜 밥을 같이 안 먹느냐, 왜 전쟁이 날거란 가정으로 모든 사안을 판단 하느냐고 되묻는 낸시랭. '정파적인 입장'이 아니라 상식적으로 낸시랭 참 멋지다.

'서늘한 미인'에서 낸시랭에 대한 글을 본적이 있다. 낸시 랭이 (노출이 있는) 퍼포먼스를 할 때 언니들은 눈 마주치고 즐거워하며 응원하는데 몇몇 분들은 인상 쓰면서도 훔쳐본다는 얘기를 한적이 있다. 자신의 욕망을 마주하며 솔직해지기보다는 엄숙해지고 싶은 한국 사회의 일면이 엿보인 해프닝이었다.
김경이 쓴 에세이에서도 낸시 랭 이야기가 나온다. 여자들이 시간과 돈을 들여 꾸미는 대신 데이트 비용은 남자가 내도 좋지 않냐란 식의 이야기였다. 김경은 그 얘기 끝에 알량하게 밥값 분담을 하는 것보다 낸시 랭 같은 태도가 더 괜찮아보인다는 얘기를 했던 것 같다. (정확한 내용은 잘 기억나지 않아서 찾아봤는데 즈질 검색 실력이라 보이지 않는다. 대신 이 기사가 눈에 띄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27417.html )
쓰고자한 이야기를 기사에서 대부분 해준 것 같다. 나 역시 낸시랭을 어떤 진영에 놓고 볼지 고민하는 수준이었다. 자신이 어때야한다는 주장 대신 그렇게 사는 사람을 지켜보는건 즐겁다. 요즘은 낸시랭이 그래보인다.
나는 이효리가 예측 가능한 선행의 틀 위에서 상찬 혹은 비난을 들어가며 ‘개념 연예인’이 되길 바라지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개념 연예인’이라는 말의 허상을 파괴해주길 바라는 쪽이다. 진영 논리에 따라 자기 입맛에 맞으면 ‘개념’으로, 아니면 ‘수구’로, 이도저도 아니면 계몽이 필요한 ‘백치’로 연예인 집단을 매도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들의 사회참여에 장벽을 쌓는 건 연예인 당사자들의 계몽 여부가 아니라 바로 그런 타자화된 시선 자체다. 얼마 전 TV 프로그램에서의 ‘뱃살 논란’이 점화된 직후 ‘아 그거 의상 때문인데’가 아니라 ‘나이 먹으면 배 나오는 게 당연하지’로 응대한 그녀의 총기가 외부의 진영 논리에 영향받지 않길 바라며. 혹여 저렴한 책사가 필요하다면 <한겨레21> 편집부에 제 연락처를 문의해주세요. 님 파이팅. (허지웅의 글, 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160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