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랭 비키니 선거운동 기사를 보다가 누군가 변희재 운운하는걸 보고 얻어걸린 동영상. 
 연예인의 사회 참여 발언, 운동이 정파에 영향을 받고 이는 나중에 차기 정권 때 잘 보여서 좋은 자리 꿰차려는 의도라고 보는 변희재에게 대체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된거죠라고 묻는 대신 강용석, 전여옥, 나경원이랑 친구라면서 왜 밥을 같이 안 먹느냐, 왜 전쟁이 날거란 가정으로 모든 사안을 판단 하느냐고 되묻는 낸시랭. '정파적인 입장'이 아니라 상식적으로 낸시랭 참 멋지다.















 '서늘한 미인'에서 낸시랭에 대한 글을 본적이 있다. 낸시 랭이 (노출이 있는) 퍼포먼스를 할 때 언니들은 눈 마주치고 즐거워하며 응원하는데 몇몇 분들은 인상 쓰면서도 훔쳐본다는 얘기를 한적이 있다. 자신의 욕망을 마주하며 솔직해지기보다는 엄숙해지고 싶은 한국 사회의 일면이 엿보인 해프닝이었다. 


 김경이 쓴 에세이에서도 낸시 랭 이야기가 나온다. 여자들이 시간과 돈을 들여 꾸미는 대신 데이트 비용은 남자가 내도 좋지 않냐란 식의 이야기였다. 김경은 그 얘기 끝에 알량하게 밥값 분담을 하는 것보다 낸시 랭 같은 태도가 더 괜찮아보인다는 얘기를 했던 것 같다. (정확한 내용은 잘 기억나지 않아서 찾아봤는데 즈질 검색 실력이라 보이지 않는다. 대신 이 기사가 눈에 띄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27417.html )


 쓰고자한 이야기를 기사에서 대부분 해준 것 같다. 나 역시 낸시랭을 어떤 진영에 놓고 볼지 고민하는 수준이었다. 자신이 어때야한다는 주장 대신 그렇게 사는 사람을 지켜보는건 즐겁다. 요즘은 낸시랭이 그래보인다.


 나는 이효리가 예측 가능한 선행의 틀 위에서 상찬 혹은 비난을 들어가며 ‘개념 연예인’이 되길 바라지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개념 연예인’이라는 말의 허상을 파괴해주길 바라는 쪽이다. 진영 논리에 따라 자기 입맛에 맞으면 ‘개념’으로, 아니면 ‘수구’로, 이도저도 아니면 계몽이 필요한 ‘백치’로 연예인 집단을 매도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들의 사회참여에 장벽을 쌓는 건 연예인 당사자들의 계몽 여부가 아니라 바로 그런 타자화된 시선 자체다. 얼마 전 TV 프로그램에서의 ‘뱃살 논란’이 점화된 직후 ‘아 그거 의상 때문인데’가 아니라 ‘나이 먹으면 배 나오는 게 당연하지’로 응대한 그녀의 총기가 외부의 진영 논리에 영향받지 않길 바라며. 혹여 저렴한 책사가 필요하다면 <한겨레21> 편집부에 제 연락처를 문의해주세요. 님 파이팅. (허지웅의 글, 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1607.html)




댓글(4)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뷰리풀말미잘 2012-04-14 2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년 전에 변희재를 보고 와, 얜 진짜 못생겼다. 고 생각했고 역시 10년전에 낸시랭을 보고 와, 미술계에도 미녀가 있네. 라고 생각했는데. 세월이 흐르니까 다들 평범해지네요. 미와 추도 엔트로피 증가 법칙의 영향을 받는거죠. 아, 언젠가는 제 미모도 평범해질까요? 우울하네요.

이 둘은 여러가지 공통점이 있는거 같애요. 둘 다 중증 노출증에, 전공분야에는 무지하나 밥그릇 포지셔닝엔 일가견이 있고, 사회적 관심은 많은데 별로 생산적이진 않고.. 차이점은 확고하죠. 호감과 비호감.

인용할려고 하신 김경의 에세이는 '뷰티풀 몬스터'에요. 전 이 책을 두권 샀는데 다 어디론가 사라졌네요. 밥값? 낸시랭정도면 데이트 비용은 남자가 내야죠. 진중권은 눈도 높아. ㅎㅎ

아, 말이 나왔으니까 말인데 낸시가 진중권에게 과민반응하는 건 어느정도는 아티스트로서 본질을 간파당했다고 느끼기 때문일거같애요.

Arch 2012-04-16 13:37   좋아요 0 | URL
오 미잘이다! 아차차, 말미잘이지 (밥 먹고 오면서 생각해낸 유머란게 헐)

못생겼다고 말할줄 아는 댓글이라니! 막 신나요. 톡식의 슬옹이가 미잘을 좀 닮은 것 같아요. 생긴 것보다 하는 짓이나 말하는게. 은근 귀엽더라구요. 미잘 미모도 알고보면 은근과지...

그 책인지 당근 알죠. 한겨레에서 찾아보려고 하는데 잘 못찾겠어서 말이죠. 진중권이 하는 말, 정말 웃겨요. 규정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 했다가 나중엔 감당할 수 없는 사람처럼 느껴지는 것처럼 얘기한 부분이요.

아티스트로서의 본질?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어요...

그런데 미잘, 꼬마 니콜라가 그런 애였어요. 지희는 요새 그 책만 봐요. 난 잘 모르겠던데

뷰리풀말미잘 2012-04-16 19:23   좋아요 0 | URL
슬옹이가 누구에요? 검색하면 나오나? 제 미모가 은근과라구요? 아뇨, 제 미모는 직접적이고 노골적이지 않은가요?

아티스트로서의 본질? 마돈나 흉내내는거 있잖아요 왜. ㅎㅎ 이쁜척, 맹한척.

아, 꼬마 니콜라 제가 지희한테 선물한 책이죠? ㅎㅎ 짜식. 요즘도 그렇게 왈가닥이에요?


Arch 2012-04-17 11:10   좋아요 0 | URL
물론 아니죠. 미잘 미모는 은근과예요. 자꾸 보고 하는 짓 보고 또 보고 해야 배어나는, 아, 이게 미모구나. 이런거?

아티스트로서의 본질? 이건 미잘 설명으로도 모르겠어요. 알겠지만 나는 다아 설명해줘야 알아들어먹는 감없는 아치라. 방금 화장실 갔다와서 든 생각인데 전 이미지메이킹이랑 진짜랑 잘 구분이 안 돼요. 미잘이 말한 것처럼 예술로서 만들어진건지 원래 사람이 그런건지 모르잖아요. 아티스트로서의 본질에 두개 다 해당되는건가.

ㅇㅇ 지희가 왈가닥이었나요? 왈가닥은 지민이쪽이죠. 지희는 여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