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네를 타는 옥찌는 아름답다. 자아도취에 이어서 조카도취라고 한다면 할 말은 없지만, 정말 아름답다. 너무 높거나 낮지 않은 높이에서 앉았다 섰다를 촐싹 맞지 않게 오간다. 무릎을 굽혔다 폈다하기에 정성을 들이고, 가끔 나를 보며 한번씩 웃는다. 그네는 원래 그 아이 몸에 딱 맞는 옷 같다. 게다가 옆에서 참견한다며 신발을 벗어라, 좀 더 높이 올라가라, 내가 신발을 맡겠다 하며 뛰어다니다 엎어지는 방자 같은 동생이 있으니 우아함이야말로 더 돋보일 수 밖에.

 이제 아이들은 그네 바닥에 배를 깔고 발로 구르며 그네를 탄다. 까르르거리며 웃는 소리가 오후의 놀이터에 퍼진다. 오랜만에 즐겁다.

 벤치에 누워 김어준의 건투를 빈다를 보다가 자기 객관화와 자존감에 대한 철학적인 질문 에 골똘한건 아니고 그냥 좀 졸려서 뒤척이고 있는데 갑자기 큰 소리가 났다.

 왜 모래를 뿌리느냐로 시작한 악 소리는 아이가 갖고 있는 모래삽을 들어다 아이를 때리고 모래를 던지는 연속 동작으로 이어졌다. 여자는 아주 성이 나 있다. 금세라도 아이를 분지르고 아이 자체를 지워버릴 것처럼 화가 나 있다. 조마조마했다. 더 폭력적인 상황이 되면 어쩌지. 아직은 여자가 지켜보는 사람들 눈을 의식해 좀 자중하길 바라며 그 상황을 지켜볼 수 밖에.

 여자의 아들일까, 아니면 자기 아이에게 모래를 던진 남의 아이를 저렇게 몰아세우는걸까. 남의 아이라면 내가 나서도 되고, 자기 아이면 나서기 그렇겠단 생각이 들었고, 그래도 저건 좀 아니란 생각도 들었다. 옆에 할머니들은 왜 수군거리면서 나서지 않나 싶어 서운했다. 생각만 하는데도 머리에서 쥐가 날 것 같았다.

 여자가 인상을 쓰며 다시 아이에게 모래를 던지고 발로 아이를 찼다. 다가가서 아이의 모래를 털어줬다. 여자에게 뭐라고 할까하다 내가 과연 제대로 싸울 수 있을지는 둘째치고 자격이 있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이건 사적인 일이 아니라 폭력인데 자꾸 내가 관여하면 안 될 것 같았다. 여자가 다시 아이에게 다가와선 화난 목소리로 왜 그랬냐고 자꾸 물으며 아이의 모래를 털어줄 때까지 아이의 모래를 털어줬다. 거친 손매무새로 아이의 몸에 묻은 모래를 털어준 여자는 아이들을 데리고 사라졌다.

 벌어진 일의 성격과 달리 자격 얘기가 나온건 다른 사람 앞에서 안 했다 뿐이지 나도 숱하게 저지른 일이었다는 의미에서였다.

 어제는 자책감과 미안함에 전전긍긍했다. 방학이라고 같이 있는 시간이 많아진 옥찌들이 싸울 때마다 나는 미친 사람처럼 소리를 질렀다. 소리를 지르고 화를 주체하지 못해 아이들을 때렸다. 때리고 상처를 주는 말을 했으며 그래놓고도 화가 풀리지 않는다고 생각해낼 수 있는 아주 심한 말을 해버렸다.

 차라리 아이들이랑 떨어져 사는 게 낫지 않을까. 아이를 어떻게 대하고 공감해야하는지 알면 뭐하나. 하나도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걸. 아이들이 투정을 부리고, 우는걸 상대할 때마다 이런 감정노동은 하기 싫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네가 그래서 슬펐구나, 그래서 정말 즐거웠구나, 그래서 맘이 상했구나란 말 대신 '왜'라고 묻는다. 너는 대체 왜 그러니? 마치 존재하는 것 자체가 의문이라는 듯 왜라고 묻는다.

 어제의 자책에서 벗어나고 싶어 오늘은 잘하려고 애썼다. 물론 맘처럼 쉽진 않았지만, 옥찌들은 내가 여지를 두는 만큼 덜 싸웠고, 재잘거리며 내게 말을 걸었다. 나는 미안할 정도로 즐거웠다. 놀이터에 다녀온 뒤, 몸이 끈적거리다며 지민이가 짜증을 냈다. 지민이가 짜증을 내면 이모도 짜증나고, 속상하단 말을 했다. 어느 순간 아이가 자신을 끌어올려 짜증에서 벗어나려고 하는게 보였다. 활달한 목소리로 내게 뭔가를 물어보는데 그제서야 알았다. 나만 감정 노동을 한다고 생각했고, 나만 다 희생하는 것처럼 느꼈던 맘이 문제란걸. 분명히 그게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도 맘 속 깊숙이에선 정말 그렇게 믿었다. 이 생각은 언제쯤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사라질까. 6살 아이에게 이모한테 맞추라는 미숙함에선 언제쯤 벗어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