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는 기회였다. 글이라고 해야할지도 모르겠다. 페이퍼에 분명히 토요일 열리는 촛불집회에 간다고 쓴 덕에 사지 늘어짐증과 귀차니즘의 발동으로 집에서 뭉개고싶어 죽겠는 맘을 떨쳐낼 수 있었다. '서재 의무감'이란 단어가 생각날 정도였다. 집에 계시는 부친께 같이 나가보자고 했지만 예전 시위 당시 최루탄 때문에 곤혹을 치르셨다며 싫다고 하셨다. 아빠, 그게 언제적 일인데. 아빠를 설득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는 것 플러스 저지하려고까지 하시길래 그만뒀다. 이거, 괜히 뻘쭘해지는거 아닌가 싶은 맘도 있었다. 그래, 솔직히 말하면 지방에서 해봤자 어떤 의미가 있겠어란 나름 자조적인 생각이 끼어들기도 했다. 걔중에는 직접 시위 참여하는 사람들의 진정성과는 별개로 굳이 서울까지 가서 시위를 한다는 사람들까지 있는 판이니. 그래도 안 하고 이러쿵 저러쿵 하는 것보다 해보고 판단하는게 더 낫단 생각에 몸을 질질 끌며 집을 나섰다.


음향시설차량

 시민문화회관에 사람들이 제법 모여있었다. 다들 삼삼오오씩 모여 수다를 떨기도 하고, 깔깔대며 웃기도 했다. 예전엔 효순,미선 촛불시위때와는 달랐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많아서 분위기가 통통 튀었다.

 


피켓을 만드는 친구들

 한쪽에서는 피켓으로 쓸 구호를 적는 친구들이 보였다. 어디서 저런 말을 생각했을까 싶은, 창의력 부재형 인간으로선 저중에 졸작이라도 좋으니 하나 물려받고 싶은 마음까지 들정도였다.

 나이도 바라는 바도 다 달랐지만, 우리가 분명히 원하는건 광장에 모여 자신들이 원하는바를 말하는 것이었다.

 날이 저물고

 자유발언 시간. 아저씨들이 주로 나오셨다. 100분 토론 관련해서 서울 시위가 폭력 시위가 아님을 피력하신 분도 있었고, 당신들의 일상에서 건져올린 정치적인 얘기도 있었다. 하지만 단연 기억에 남는 사람은 1분 1초가 아깝지만 도저히 공부가 할 수 없어 나왔다는 고3 여학생. 그녀는 말을 하는 도중 감정이 격해져 간신히 눈물을 참았다. 너무 감상적일 수도 있었지만, 모든게 다 논리적으로만 설명할 수 있는건 아니니까. 말도 너무나 똑부러지게 잘하고, 자신은 어떤 문제로 이 광장에 나오게 됐는지를 분명하게 밝혔다. 나 고3때는 노느라 바빴는데. 격세지감은 나중 평이고 사실 부끄러움이 앞섰다. 그건 그곳에 나온 분들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지못미까지는 아니어도 대체 무엇을 위한 교육이고, 소신있게 아이를 키우는게 어떤건지 고민해본 사람이라면 다같이 공감 했으리라 생각된다. 학교 가고 싶어 아침 일찍 잠이 깨는 아이들이 많아진다면 얼마나 즐거울까. 그녀 어깨의 짐을 같이 져줄 수 있다면 좋으련만.



할아버지도

꼬마 친구도


거리시위내내 피켓을 들고 씩씩하게 구호를 외치던 친구까지

 모두가 바라는건 각각 달랐다. 누구는 0교 폐지를 위해, 정말 그야말로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 오빠들이 광우병 걸린 소고기를 안 먹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대운하는 결사 반대(그래, 군산은 새만금이 있다. 그것 자체에 어쩌면 함정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검역 주권 지키기 등. 하지만 지금 우린 여기에 모였다. 굳이 공통점을 찾는다면 그것 하나. 그리고 그 자체만으로 가장 큰 힘이 되는 사실.


천지연, 사물놀이패와 같이 걸었다



  당신들과 같이 걷고 같이 노래해서 전 하나도 안 뻘쭘했답니다.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이다. 이렇게 당연한 말이 이렇게 자연스럽지 못한 분위기에서 불린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

  군산에선 과격한 분위기도 없었고, 문화제 형식으로 이어져 시종일관 평화로운 집회의 면모를 보여줬다. 군산고 친구들이 나와서 노래를 하는데 홀딱 반할 정도로 정말 잘했다. 여학생들 춤솜씨도 압권이었고. 사회자 말처럼 이 친구들이 공부뿐만이 아니라  자신들이 하고싶은 일을 찾아서 열정적으로 도전할 수 있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

 난 촛불집회가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정말 살기 싫다고 하는 사람들이, 행복하지 않다고 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욕구가 뭔지, 어떤식으로 사회와 조율을 해갈 수 있을지 광장으로 나와 토론을 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내가 바라는건 옥찌들이 공부는 좀 못해도 다른 재미로 자신의 길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이 되는 사회, 일하는 시간이 너무 많지 않은 사회, 연대의 힘을 믿는 사회, 돈이 아닌 가치들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 사회. 다양한 의견이 그 나름대로 의미를 압아가는 사회. 뜬구름 잡는 얘기 같지만 난 그런 사회가 올거라고 믿는다. 그러기 위해선 힘을 분산시켜 꾸준히 집회에 참여해야겠다.

 다음 10일엔 옥찌들과 참가해야지. 이건 정말 '서재 의무감' 발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08-06-12 0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촛불을 하나 밝히는 것, 우리 모두의 희망이고 힘이지요! 수고하셨어요 토닥토닥~ ^^

Arch 2008-06-13 13:45   좋아요 0 | 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