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는 님의 침묵군말에서 님만 님이 아니라 기룬 것은 다 님이다는 테제는 보편적 자아로서의 과 개별적 자아로서의 들이 상즉상리의 관계하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개별적 자아(석가, 칸트, 장미화, 맛치니)가 자신의 님’(중생, 철학, 봄비, 이태리)을 간직하고 기루어 하면 개별적 자아의 님이 보편적 자아의 님과 상즉상리의 관계를 맺게 된다고 본 것이다.

한용운은 우리 사회가 상즉상리의 관계를 깨달을 때 칸트가 정초한 근대 문명의 한계를 넘어서는 미래의 도덕 문명으로 이행한다는 것을 믿었다. 이러한 상즉상리(相卽相離)의 관계를 깨닫기 위해 요청되는 수행이 참선이었다. 한용운이 생각한 참선은 근대적인 제도로서의 불교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한용운이 구상한 선은 종교적 신앙도 아니오, 학술적 연구도 아니며, 고원한 명상도 아니오, 침적(沈寂)한 회심(灰心)도 아니다. 다만 누구든지 아니하면 아니 될 것이요, 따라서 누구든지 할 수 있는 지극히 평범하고 필요한 일이다. 선은 전인격의 범주가 되는 동시에 최고의 취미요 지상의 예술이다. 선은 마음을 닦는 즉 정신수양의 대명사다.” 한용운의 이러한 이해는 선외선사상을 낳는다. ‘선외선사상은 선이라는 말을 들어볼 기회조차 없었을” “상치장수가 흥정하는 말 속에도 선적 묘미가 깃들게 할 것을 요청한다. 그때에 비로소 개별적 자아와 보편적 자아의 상즉상리가 마침내 이루어지고 야만적 문명미래의 도덕 문명으로 혁명적인 변화를 맞게 된다는 것이 한용운의 선외선사상의 요체였다.

 

. 나가며

 

특정 분야의 범용한 지식인을 양산하는 근대 이행기를 살았던 한용운의 위대함은 시인, 선사, 정치가의 일체화를 이룬 데 있다. 이는 근대를 체험한 보통사람의 위대함이다.

선사이면서 시인, 정치가의 삶을 치열하게 살아냈던 선학원 시절의 산물인 한용운의 님의 침묵희박한 언표로서 당대의 담론, 언표들과 넓고도 깊은 상호작용을 수행했다. 이것을 문학의 자율성에 가둘 수도 없고, ‘일본-중국-조선의 일직선적인 사상연쇄로 제한할 수도 없다. 또한 이것은 전통으로의 회귀를 꾀하고 있지도 않다.

한용운은 량치차오를 통해 칸트를 접하지만 량치차오와 칸트의 한계 즉 개별적 자아와 보편적 자아의 분리를 상즉상리(相卽相離)의 관계로 넘어서며, 이를 현실 속에서 구현하기 위해 선사로서 당대의 중생에게 선외선사상을 제시한다.

희박한 언표님의 침묵선외선사상과 당대의 자유연애 담론의 상호작용의 양태의 각도에서 읽힐 때 그것은 지금, 여기의 한국적 근대문명을 사유할 수 있도록 곁을 내어 줄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번 논문에서 직접 다루지는 않았지만 님의 침묵수록시인 자유정조를 근거로 전통적인 반려애자유연애론에 대한 반명제를 한용운의 문학활동의 주요 주제로 규명하려 한 일련의 문화사적인 연구 관점을 상대화시킬 수 있었다. 추후의 연구 과제로 기존의 문화사 연구 성과가 한용운의 선외선사상과 어떤 상호작용의 양태를 낳을지 탐구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