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과 디자인의 교감 빅터 파파넥 - 대화 02
조영식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품절
"형태는 돈을 따른다." 작년에 어느 디자인지에 실린 편집장의 글 제목이다. 한해를 마감하면서, 그는 좋은 디자인이란 그것을 가능케 하는 금전적 투자와 그것이 팔릴 시장에서만 가능한 것임을 힘주어 말했다. ‘디자이너들이여, 디자인은 상품이라네. 그래서 조악한 디자인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는 거라구.’ 아마 그가 하고 싶었던 말은 이것이었을 것이다. 무정한 클라이언트들과 냉정한 소비자 사이에서 방황하는 디자이너들에게 그는 이것을 일깨워 줘야 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여기 깡통 라디오가 하나 있다. 조개 껍질, 나일론 끈 조각 등이 얼기설기 붙어 있는 이 라디오들은 어디서도 팔지 않는다. 이 책의 주인공, 빅터 파파넥은 1960년에 인도네시아 발리에 도착했다. 당시 발리 섬은 화산폭발로 많은 사람들이 가족과 집을 잃었다. 유네스코의 개발도상국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파파넥은 그들에게 도움이 될 무언가를 고안해야만 했다. '만약 뉴스를 들을 수 있는 라디오가 있었다면, 이 사람들은 더 빨리 대피할 수 있었을지도 몰라.'
그러나 가난한 원주민들의 주머니 사정에 맞을 만한 라디오는 없었다. 그래서 그는 섬의 관광객들이 버리고 간 깡통을 몸체로 하고, 땅콩기름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라디오를 고안해냈다. 깡통의 틈새로 보이는 지저분한 전선을 가릴 장식은, 1달러가 채 안 되는 그 라디오를 갖게 될 원주민들에게 맡겼다. 그 결과 라디오들은 개별 소유자들에 의해 '장식'이 되었고,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물건이 되었다.
이 라디오를 보고, 서방의 유명한 디자이너들은 '아름답지 않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그의 생각은 달랐다. 오히려 그는 버리지 않는 것에 대해 생각했고, 최소비용으로 소외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에 집중했다. 여기서 그의 디자인은 시작한다. 교육기회에서 배제된 아프리카 사람들을 위해 고안한 교육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골판지 TV, 사막화하는 지역을 녹지로 되돌리고자 수십만 개의 씨앗을 싣고서 하늘을 날아오를 작은 종이 프로펠러들, 문맹도 사용할 수 있는 색과 도안을 이용한 피임약, 키가 작은 어머니를 위해 만들었던 그의 첫 디자인, 굽 높은 주방용 신발.
이렇듯 파파넥에게 디자인이란 그럴싸한 형태도, 생산공정을 절감할 수 있게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킨 그 무엇도 아니었다. 그에게 디자인이란 그것이 놓일 공동체의 삶을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그들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고안'이었다. 그래서 그의 디자인은 완제품이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의 미감에 맞춰 직접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아이디어였다.
그러나 그의 디자인은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 결코 적지 않은 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지만, 구매력있는 소수에게 매력적인 상품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 책 중간에 이미지 컷으로 오늘날 우리들이 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리는 것들-플라스틱 용기, 신문지 등-을 등에 지고 길을 가는 사람이 있다. 그들이 주워간 신문지는 땔감이 되거나 벽에 발릴 것이고, 플라스틱 용기에는 무언가가 보관될 것이다. 자원의 순환주기를 몇 번이고 반복시키는 것, 거기에서 얻을 수 있는 소박한 경외감.
이러한 감정이나 태도는 오늘날 우리들이 기꺼이 버린 것이다. 디자인을 상품으로서, 생산자를 오직 디자이너만으로 한정지으면서 말이다. 그러나 다시 한번 발리 원주민들의 라디오를 기억해내자. 파파넥의 실현되지 못한 디자인이 우리에게 전하고자 했던 그것. 한정된 물질의 순환주기를 반복함으로써, 장애인, 문맹과 같은 소수자를 고려함으로써 이뤄낸 공평한 배분과 최대한의 이익.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종교에 가까운 경건함을 생각했다. 상품으로서의 디자인이 저 한 편에 있다면, 저자는 파파넥의 말을 빌어 누구에게도 배타적이지 않은 삶의 태도로서의 디자인을 설득력있게 전한다. 그것은 '공동선'의 추구이다. 그리고 여기서, 나는 감히 그 편집장에게 이의를 제기한다. 비록 시장이 협소하고, 투자가 적을지라도 우리는 나쁜 디자인을 비난할 수 있다. 왜냐하면 디자인이란 결국 태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