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이런 친구를 둔 사람은 얼마나 행복할까 생각해봅니다.

이문구를 친구로 둔 박상륭은 얼마나 마음이 든든했을까요.

이제 두 분 다 작고하신 작가들이지만 그 시절 이야기를 읽다보면

저에게 소설보다 재미있었던 것은 정작 이문구 작가의 문단 교유기입니다.

글을 읽다보면 사람사는 냄새가 물씬 난다고나 할까요.

글보다 사람이 중요하니까요.

  

 

 

 

 

 

 

 

 

 

 

 

 

 

 

   즐거운 편지

 

   1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

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

해 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보리라.

 

   2

 

   진실로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 내 나의

사랑을 한없이 잇닿은 그 기다림으로 바꾸어버린 데 있

었다. 밤이 들면서 골짜기엔 눈이 퍼붓기 시작했다.

사랑도 어디쯤에선 반드시 그칠 것을 믿는다. 다만 그때

내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하는 것뿐이다. 그 동안에 눈이

그치고 꽃이 피어나고 낙엽이 떨어지고 또 눈이 퍼붓고

할 것을 믿는다.

 

 

 

 

 

 

 

 

 

 

 

 

 

 

 

 

고등학교 3학년초, 내가 대학 입시 준비와 함께 맡고 있던 교지 편집에

정신없이 바쁠 때 동규가 교지에 넣으라며 전해준 시가 <즐거운 편지>였다.“

(황동규 깊이 읽기 내가 본 황동규에서)

 

이를테면 황동규의 시 가운데 가장 많이 알려진 시의 현장을 함께 했던

시인 마종기의 회고입니다.

 

 

 

 

 

 

 

 

 

 

 

 

 

 

 

 

중고등학교부터 서로 좋아함에 부침이 없었다고 회고하는 황동규 시인은

이렇게 토로합니다.

한 인간을 제대로보기 위한 적절한 거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는 나에게 너무 가깝다. 십 년 전인가 어느 술좌석에서 그는 나를 한바탕

꾸짖었는데 며칠 후 김주연이 그렇데 당하고도 가만있었던 내가 이상하다고 했다.

나도 성미 급하기로 유명한데, 그러나 그한테만은 잘 안된다.“

(마종기 깊이 읽기 마종기 인물 소묘에서)

 

두 경우에서 살펴보듯 살기 어려운 시절에 피어난 우정의 꽃이 우리에게 감동을 줍니다.

밥술을 뜨기 어렵던 저 시절을 벗어나 자가용과 아파트가 재산이 되는 시대로 이행하면서

이런 우정을 찾아보기가 어려워졌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솔직한 느낌으로 현재의 문단, 요즘말로 문학동네는 따로 국밥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뭐 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찬바람이 불어 가슴이 시려오는 가을날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이것입니다.

좋은 친구를 찾기 전에 제가 먼저 좋은 친구가 되어야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