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날의 파스타>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보통날의 파스타 - 이탈리아에서 훔쳐 온 진짜 파스타 이야기
박찬일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가방에서 노랑색으로 표지가 된 책을 꺼낼때마다 참으로 괜시리 기분이 좋아진다. 참 예쁘구나, 봄이 오는 것같은 살랑거리는 노랑 !! 이 한 겨울에 봄이 온 듯 마음만 슁숭생숭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무엇을 선물해주고야 마는 노랑책!! 이 책이 내게 선물해 준 것은 봄이되야 돈다는 입맛과 훌쩍 떠나고픈 여행에의 동경!!
 

 파스타로 가득한 책에서 이탈리아를 여행하는 기분이 든다, 더 자세히 이야기 한다면 이탈리아 사람들에 대해서 알아가는 것 같다. 요리를 하는 것도 열심히 만든 요리를 먹는 것도 모두 사람인 탓일까? 요리 이야기로 채워져 있는 한 장 한 장에서 사람 냄새를 맡게 되고 그 사람들이 왜 파스타를 사랑하는지 왜 파스타에 자부심을 느끼는지 알아가면서 내가 먹는 파스타를 하나 둘 떠올리며 고개가 끄덕거리기도, 웃음을 짓기도, 살짝 얼굴을 붉히기도 한다.

 

 원래 이탈리아 요리가 그렇다. 복잡한 게 거의 없다. 그래서 '복잡하면 이탈리아 요리가 아니다' 라고 할 수 있다. 이탈리아 요리의 원형질은 단순하고 빠르며, 맛이 분명하고 간결한 것이 특징이다. 여러 가지 맛이 섞이는 걸 싫어하고, 다양한 재료가 한 요리에 들어가는 것도 싫어한다. 대신, 이런 단순한 요리를 코스로 먹으니까 결국 다양한 재료와 요리를 먹게 된다. 그런데 한국의 이탈리아 요리는 대개 코스로 먹지 않는다. 그래서 한 접시의 요리에 다양한 재료와 맛이 혼재된다. 어쩌다 먹는 이탈리아 요리,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다양한 재료와 소스가 쓰인 요리를 찾게 된다. 간결한 카르보나라를 먹지 않는다고 뭐라 할 건 없다는 얘기다.    -p. 086-089

 

 길을 걷다 문득 들어간 곳에서 먹은 카르보나라를 잊지 못한다. 대학 때는 그토록 싫어했던 느끼하기만한 크림소스 스파게티를 그 날 주문할 자신이 생겼던 건 주방장 아저씨의 자신있는 말씀에서 맛있을거란 기대 때문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탈리아에 참으로 많고 다양한 파스타, 귀여운 만두 등 저자가 말하는 모든 요리들이 맛있을 것만 같다. 한국적이지 않은 요리가 당연한 이탈리아 요리를 맛보고 싶어진다. 분명 내 입맛에 맛지 않아 반절을 남기게 되겠지만 맛보고 싶어진다. 그 맛을 보면서 이탈리아에 대해 저자가 느낀 것의 반이라도 알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책 속에서 이탈리아를 본다. 파스타로 가득한 책에서 이탈리아를 보게 되고 한국을 보게 된다. 이탈리아 요리만을 최고로 치는 것이 아닌 이탈리아 파스타와 한국 파스타가 다른 점을 세세하고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저자의 배려가 좋았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