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를 부위별로 팝니다
애니 체니 지음, 임유진 옮김 / 알마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마침 얼마 전에 미국 수사 드라마에서 시체 밀매 이야기를 다룬 것을 본 적이 있다.
여러 기의 무덤의 시체를 몰래 파내었는데 그 중 한 구가 유실 되어서 수사관들의 수사망에 걸린 이야기였다.
수사를 하면서 드러나는 밀매 조직의 거대함은 상상을 초월하면서 그배후에는 권력자의 힘도 숨어 있었다.
그 드라마를 본지 며칠 안되어 이 책을 받은 것이다.묘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생각만큼 피가 잔뜩 흐르는 섬뜩함도 시체를 다룬다는 불쾌함도 없었지만 그들-시체 매매 브로커와 의사들-이 사체를 하나의 돈벌이의 수단으로 보고 아무 생각 없이 그들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견딜 수 없는 혐오감을 불렀다.
장기 기증과 시신 기증은 인간의 숭고한 정신으로 평가 되어 왔다.
다른 이들에게 새로운 삶을 주고 떠난 미담의 주인공,내 한족 몸을 떼어 다른 이를 살린 사람들,죽어서 의학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몸을 병원에 기증한 이들..
이들의 숭고한 뜻을 이 책에 나오는 시체 매매 브로커들과 의사들은 사정없이 짓밟았다.
화장을 해준다면서 뒤로 몰래 시체를 빼돌리고 묘지를 파헤쳐 꺼낸 시체를 조각조각 해부해 버리는 브로커들의 행태는 돈이라면 무엇이든지 하려는 인간들의 한 모습을 보여 주는 듯해서 씁쓸했다.무엇보다 그러한 인간들에 동조하여 연구용이라는 명목하에 그 조각 시체를 사들이는 의사들과 거대 의료기 제조 회사들의 모습은 이것이 과연 소위 지식인들의 모습들인가 하는 의구심마저 들게 하였다.
기증이라는 숭고한 뜻에서 내 몸이 의학의 발전을 위해서 쓰이리라 믿었는데 몰래 절단되어서 여기저기 팔리고 있다는 것을 알면 어떠한 기분일까..상상하고 싶지 않다.기증을 받은 시신도 해부라는 교육을 마친 후에는 정중히 장례를 치러주는 것이 인간에 대한 예의일 것이다.
하지만 의사들과 -심지어 검시관까지도-시체매매 브로커들은 그들을 무참히 조각을 내어 매매를 함으로써 그들의 존엄성을 훼손하였다.
비단 이 일이 미국에서만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우리 나라에서도 세계 곳곳에서 어두운 곳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되어 진다.아직은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이지...
어째든 읽으면서 내내 한숨이 나오고 인간이 어디까지 무서워 질 수 있는지 대해 다시한 번 생각하게 만들어 준 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ade 2007-09-13 0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의과대학생들이 해부를 하며 드는 생각 중 하나가, 기증하신 분께 너무너무 감사하지만 정작 자신은 선뜻 기증하지 못하겠다는 거예요..실습용 시신은, 정말 말 그대로 샅샅이 파헤쳐지거든요...그런데 한쪽에선 시신을 빼돌려서 밀거래를 한다니, 정말 마음이 착찹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