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며느리 방귀 ㅣ 네버랜드 우리 옛이야기 30
이상교 지음, 나현정 그림 / 시공주니어 / 2009년 4월
평점 :
아이들은 원초적인 걸 좋아한다. 방귀라던지 똥이라던지, 방귀 뿡~ 하면서 방귀소리를 내면 아이는 하루 종일 웃고 있다. 며느리 방귀라고 제목을 읽어 주었더니 무슨 내용이냐며 아이가 무척 궁금해한다. 며느리라는 말의 뜻도 모르면서 방귀라고 하니 막연히 웃긴가 보다.
같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누가 이야기 하느냐에 따라 재미가 달라진다. 시공주니어에서 나온 네버랜드 우리 옛이야기는 무척 재미있다. 글자 그대로 따라 읽기만 해도 구연동화가 된다. 특히 며느리의 엄청난 방귀소리의 표현은 아이가 너무 너무 좋아한다. 풍풍, 방방! 뿌르르릉 뿌릉! 피식피식 피시식! 삐이익! 이렇게 다양하게 표현 할 수 있는 우리말이 좋다.
일러스트도 너무 재미있다. 전통적이면서도 해학적인 얼굴의 등장인물들을 보고 있노라면 절로 웃음이 나온다. 활짝 핀 모란꽃처럼 고운 며느리의 얼굴은 특히 많은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는데, 이렇게 참한 며느리가 엄청난 방귀를 뀔 것이라고는 식구들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매일 새로운 그림책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름있는 그림책상을 받은 책도 있고, 우리나라 작가의 그림책도 있고, 외국의 인기있는 그림책을 번역한 책도 많다. 이렇게 많은 책들이 있지만 우리가 아이에게 전래동화를 읽히는 이유는 전래동화야 말로 모든 이야기들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오랜 세월을 걸쳐 전해내려오면서 다듬어졌기 때문에 군더더기가 없다.
전래동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비슷한 이야기 구조를 띄고 있다. "옛날 옛적에~"로 시작하는 전래동화는 시공간을 분리시켜서 아이에게 환상의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모두 행복하게 살았다로 끝이 나는 패턴들에 아이는 심리적 안정감을 갖는다고 한다. 이런 원론적인 이야기를 제쳐두고라도 내가 전래동화를 아이에게 읽어주는 이유는 단순히 재미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우리 고유의 정서가 묻어나는 이야기다 보니 웃음의 코드가 비슷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이와 함께 실컷 웃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