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라이언스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 관리법
리드 호프먼 외 지음, 이주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수직적 조직관리의 인재관리와 수평적 조직관리에서의 인재관리의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급변하는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대다수 기업은 전통적 노사 관계를 해체하고 법적인 계약 관계로 노사 관계를 전환해 유연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는 게 같습니다.


그런 유연성 측면에서는 수직적 관리보다는 수평적 관리가 좀 더 효율적이라 생각되는데요. 여러 기업들에서도 효율적인 인력관리 방법에 대해서 도입하려는 시도는 꽤 많은 곳에서 하는 것 같습니다.


동맹관계, 연합전선, 전환복무, 네트워크 지성, 평생 동맹 관계 등 인재관리에 대한 내용들을 담고 있기에 관리자들과 직원들과의 제공되는 도구들을 이용해서 부하 직원들과 동맹 관계를 구축하고 자신의 관리 부서나 팀을 일신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조지 관리나 인재관리가 문화의 한 부분으로 대변되기에 동양적인 사고방식과 서양적인 사고방식의 차이에서 오는 관리적인 차이는 제외하더라도 책에서 언급하는 '동맹'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인식이 됩니다.


주종 관계가 아닌 동맹관계로의 인식 전환이 동양적인 사고방식 내에서는 이해가 될지는 모르겠으나, 기업의 이윤추구와 직결되는 여러 요소와 더불어 직원의 인력 관리 방법에 대해서 나열하는 방법들은, 궁극적으로 기업이 혁신을 통해서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한 나침판이라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