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의 속성 - 세계 최고의 인재들의 운과 리스크를 관리하는 실천적 지혜
스기우라 마사카즈 지음, 김수정 옮김 / 흐름출판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칠기삼이라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모든 일의 성패는 운에 달려 있는 것이지 노력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인데요. 운이 7할이고 실력이 3이라는 건데 과연 맞는 말일까요?


저자는 운의 본질은 '흐름을 타는 것'. 하늘 높이 솟아오르는 용의 등에 올라타는 이미지가 떠오르는데 '옮기다. 움직이다. 나르다'라는 의미를 가진 운이라는 한자를 생각해 보면 운의 본질이 자연스럽게 이해됩니다.


타인과 자신, 그리고 운, 이 삼박자가 흥을 타고 잘 어우러져 선순환을 만들어내고, 그 선순환이 멈추지 않도록 일이나 상황을 능숙히 움직여 나가는 것. 이것이 바로 운의 정체라고 합니다.


즉, 어떤 상활을 헤쳐나가거나, 어려운 벽을 만났을 때, 어떤 목표를 이루고자 할 때 등 주술적인 의미의 방 안에 앉아서 생각만 해서는, 기도만 해서는 어떠한 해결점을 찾아갈 수 없다는 것과 해결점을 찾아가는 여정은 순차적인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행운은 하늘에서 그냥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회와 확률의 가능성을 높이면 높일수록 운의 기회도 높아진다는 겁니다.


그런 면에서 저자는 미래 개척에 대해서는 '커리어 이론'과 '디자인 싱킹'을 통해 커리어 확장과 기회를 개척할 수 있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고, 인맥관리에는 '네트워크 이론'과 '조직 행동론'을 통해 인맥을 풍요롭게 하고 인간관계의 질을 높이는 기회를 개척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사결정 측면에서는 '전략론'과 행동재무학'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고 성공 확률을 높이는 내용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자기관리 측면에서는 '인적자원 관리론'과 '재무관리 및 자사운용론'을 통해 심리를 다스리고 부를 끌어당겨 실패 확률을 낮추는 방법이 가장 중요한 내용일 것 같습니다.


방 안에서의 자기만의 생각을 정리하고 밖으로 나와 실행에 옮기는 행동이 뒤따라 와야 운도 덩달아 따라온다고 믿기에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운삼기칠이 더 적절한 표현이지 아닐까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