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 부의 탄생, 부의 현재, 부의 미래, 개정판
하노 벡.우르반 바허.마르코 헤으만 지음, 강영옥 옮김 / 다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코로나 사태를 전후로 해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이란 말이 많이 회자되고 금리 인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읽게 된 책입니다. 17년도에 나온 책이지만 최근의 우리 사회의 이슈와 더불어 좀 더 다양한 분들이 찾아서 재출간 하는 것 같습니다.


"인류의 역사는 돈의 역사이고 돈의 역사는 곧 인플레이션의 역사이다"라는 역자의 글에서 전해지는 파워가 이 책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글귀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이해하는 하는 자만이 아래의 내용을 이해하고 실천했을 때 비로소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의 원리를 이해했다고 여겨집니다.

투자 성공의 관건은 개별적인 수치가 아니라 투자 구성, 즉 투자 전략이다.

모두에게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투자 포트폴리오는 없다. 투자자, 생활 여건,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좋은 포트폴리오는 축구팀처럼 공격수, 수비수, 미드필더의 손발이 잘 맞아야 한다.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핵심이 되는 두 개념은 분산과 상관관계다.

투자를 하다 보면 투자자들을 심리적 함정에 빠뜨릴 수 있는 요인들이 많다.

위의 투자 방법 및 전략에서 보이듯이 경제 관련 용어와 이론들이 실제 투자와 상관관계에 대한 연결고리를 찾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레버리지 또는 지렛대 효과라고도 불리는 이 경제용어가 실생활에서는 갭투자와도 연결되어 있고, 은행 빛도 내 자산이라는 생각으로, 빛으로 아파트를 구매하는 것이 그 예라 생각됩니다.

어쨌든 부의 연결고리 및 경제 원리에서 인플레이션의 상관관계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부의 원리를 반 이상은 이해했다고 할 수 있고 역사상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던 독일에서 그 독일의 학자가 쓴 내용이기에 부의 탄생과 부의 현재와 부의 미래를 꿰뚫어볼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것이기에 이 책의 가치와 내용이 더 뜻깊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