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의 미래
제임스 리카즈 지음, 안종설 옮김 / 해의시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 시세가 2,000달러를 넘지 않는 인위적인 시세조작(?)이 의심되는 시기에 저자가 바라보는 금에 대한 투자 전략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책입니다.


미국에서 무제한적인 달러 화폐의 발행으로 2020년 2/4분기부터 매달 1조 달러 빛이 생기고 있다고 하는데요. 빚은 언젠가 청산해야 되기에 그 빚의 헤지 수단으로 또는 자산의 헤지 수단으로 저자는 금으로 헤지 하라고 말합니다.

즉, 언제가 오게 될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자산은 금이라는 것이고 그 위기가 내일 올 수도, 몇 년 안에 올 수도 있기에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자산은 금이라는 것입니다.


자기 자산의 10% 정도는 금으로 분산투자해 놓고 있으라는 글에는 읽는 독자분들에 따라서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 핫한 주식시장을 필두로 해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 설명들이 넘쳐나고 있는 투자시장에서 금이 요즘에는 좀 시들한 시장인 것 같습니다. 그런 면에서 시장의 주목을 받지 않는 자산에 관심을 두는 것도 투자의 또 하나의 투자방법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요즘 2-30대에 투자의 화두가 되고 있는 비트코인이라는 가상화폐의 이슈에 비해서 금의 존재감은 그리 높이 않은 것 같은데요. 무제한적인 달러 화폐의 발행은 언젠가는 위기를 불러올 것이고 그 위기의 대응 수단으로 헤지 수단으로 금이라는 것에 여러 의견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다른 이는 그 위기가 가상화폐로의 전화를 말할 수 있을 것 같고 어떤 이는 과거의 경험이 반복되는 위기로 금의 재등장을 말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 나타날지는 아무도 알지 못하기에 현재와 미래를 바라보고 투자의 관점에서 본다면 헤지 수단으로 자기 자산의 10% 정도는 금에 투자해 놓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