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
최태성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에 수험에서 점수 따기 좋아서 암기하기 좋은 과목으로, 드라마의 흥미 위주의 여가를 즐기기 위해 시간 때우기 좋은 드라마의 한 부분으로 만 접했던 것이 역사였습니다.

<역사의 이면을 보다>를 통해서 역사의 단점에 대한 다른 이야기에 대해서 객관적인 시각으로 진실을 말하기에 읽었고 자괴감은 아니더라도 당황스러움이 역사의 이면을 처음 접한 분들에게는 조금이라도 느껴졌을 거라 예상되는데요.

다행이었다는 감정을 느낀 건 이 책을 통해서 비록 그런 단점을 알게 된 것도 그 시대의 누군가가 후대에 기록을 남겼고, 그 기록을 통해서 우리가 역사의 교훈을 갖게 된 계기가 사람이라는 겁니다. 그 누군가인 당대의 사람이 기록을 통해서 후세에 남기고자 했던 것은 옳고 그름의 평가를 후세에 남긴, 당대의 사람들의 역사의식의 내면을 알게 된 것들이 지금의 나를 알아가는 삶의 중요한 힌트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시험에 나오지 않는 역사의식, 드라마에 나오지 않는 통찰력 등은 당대의 살았던 사람에게서 나온다는것이 현시대의 내로라하는 분들이 이미 알았기에 역사서를 읽는 것이 아닐런지요.

태종태세문단세 처럼 외우고 있었던 조선왕조의 역사에서 삼국시대, 고려, 근현대까지의 당대의 사람에 의해 쓰여진 역사의 글들을 통해서 알게 돼 사람 이야기, 삶의 역사 이야기가 재미있게 읽혔네요.

또한 인상 깊은 것은 서양 설화가 영화나 책을 익숙한 우리가 삼국유사에 언급한 우리나라 설화의 이야기가 우리만의 컨텐츠로 재탄생할 수 것들이 많다는 것이 인상적으로 느껴졌습니다.

현재의 시대는 컨텐츠의 시대이기에 그 삼국유사에 나오는 무궁무진한 컨텐츠의 힘을 보았으나 제 주의의 책들 통해서는 쉽게 접할 수 었는 것들이어서 근래 아쉬웠던 것들이었네요.

근래에 인문학적 소양이 중요해지고 있고 4차 산업혁명의 과정상에서 창의인재의 덕목에서도 인문학이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인문학적 소양에 동양 고전 그중에서 우리나라 역사의 내 놓라하는 인물들과 더불어 당대의 수많은 이름없는 선조들의 사람사는 이야기를 통해서 지금 내가 살아가는 이유를 찾아보는 것이 올바른 선택일 것 같습니다.

그 어떤 선택도 본인의 몫이나 그 선택의 갈림길에 방향은 역사의식의 유무가 좌우가 될 것 같습니다. 그러기에 제가 해석하는 이 책의 제목인 <역사의 쓸모> 중 <쓸모>의 진정한 의미는 <의식>, 역사를 바라보는 생각의 차이가 당대의 사람들의 평가와 자기 자신의 평안이 우선이라는 선택지와 후대의 평가와 올바름을 남겨주려는 의식으로 구분될 것 같습니다.

그러기에 저는 지금도 이 글을 쓰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