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사기56 - 본기, 세가, 열전, 서의 명편들 현대지성 클래식 9
사마천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두께만큼이나 내용이 방대하다 보니 전, 후편으로 2편에 걸쳐서 서평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먼저 전편에서는 사마천 사기의 편역자와 본기에 대해서 다루고자 합니다. 보통은 편역자보다는 저자인 사마천의 명편들에 대해서 논하는데 편역자에 대해서 언급이 필요한 이유는 역사서의 대부분은 저자의 사망 후 몇백 년이 지난 후에 후대의 편역자의 번역 글을 통해서 전해지는 의미는 한자의 해석 방식에 따라서 오역 또는 의역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편역자의 학식에 의존해서 책이 번역되는데요. 종종 원문 상의 시대적인 시각 차이로 인해서 달리 해석되는 경우 때문에 편역자가 바라보는 사마천의 사기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합니다.

역자 서문에 중국을 가장 많이 이해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읽는 책이 "사기"라고 하는데요. 인간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 지향해야 할 모범과 준칙을 분명하게 제시함으로써 정신과 삶의 양식에 중국인들에게 영향을 끼쳐온 것이 "사기"라고 하는데요.

후세의 전해는 지 역사서들 중에 어떤 통계적인 수치로 "사기"가 많이 읽히는 근거는 부족해 보이나 사기의 분량만큼이나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많은 것은 사실일 것 같습니다.

사기의 본기(연대순으로 제왕의 언행과 업적을 기술), 세가(제후국의 흥망성쇠와 영웅들의 업적을 기술), 표(연대별 중대 사건을 기록), 서(제도와 문물제도의 연혁을 기록), 열정(대표적 인물들의 활동을 기록)을 나눠지며 5가지 부분을 사마천은 종합해서 저술되었다고 합니다.

이 책이 사마천의 사기의 방대한 모든 편을 다루기에도 900페이지가 넘는 분량으로도 채워지지 않는 지식의 향연의 글들 중에 대중성에 가깝게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설명이 되어있으며 한글(한문) 행태로 채워진 편집 상태는 한자를 접하지 않는 세대에게도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글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본기는 진시황, 진목 공전, 항우, 한고조, 서태후 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제왕들의 삶의 사는 방식을 통해서 배울 점과 그렇게 하면 안 되는 사례들에 대해서 삶의 지침이 될만한 내용들이 많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천하를 겸병하는 사람은 권모술수와 폭력을 숭상하고, 천하를 안정시키는 사람은 민심에 순응하는 것을 중시한다.

<사마천 사기 56, 사마천, p64>

전쟁의 시기를 지나 안정화 시기에 접어들었을 때는 전쟁 시기에 행해졌던 법과 제도가 안정화 시기와는 맞지 않기에 변화되고 순화되게 바꿔야 됨에도 불구하고 바꾸지 않고 독점의 정책을 유지할 경우 안정화 시기에 조금만 위기가 와도 쉽게 분화되고 쉽게 허물어진다는 의미로 현시대의 의미로 재해석하면 오늘날의 조직구조와 제왕적인 권력자의 의식변화 없이는 기업이든 국가든 오래 지속될 수 없다는 의미로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