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대한민국 트렌드 - 1인 체제가 불러온 소비 축소
최인수 외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장점은 다양한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개인의 소비심리, 개인관계의 변화와 더불어 조직, 국가의 변화의 트렌드를 제시하고 있다고 할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선정한 5위 내의 트렌드 서적 중 하나로 트렌드의 힌트를 얻어 가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2019년판의 마지막 특별기획으로 서울 vs. 도쿄 vs. 베이징 도시의 4차 산업혁명을 여는 3개 도시의 시선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
>>1인 체제의 나비효과
>>1인 체제가 불러온 소비 축소, 개인 공간의 확대
2019년도 판 트렌드 서적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단어들입니다. 1인 체제, 워라벨, 소확행, 홈트족, 가정간편식 등 개인의 소비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요. 개인의 소비 변화에 따른 여러 사회적, 공간적 변화에 대해서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밀레니얼세대의 등장과 괘를 같이하는 이러한 개인의 소비 변화 트렌드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 같습니다. 그래서 유통, 소비재와 관련 기업에서는 특히 정독해야 될 부분인 것 같습니다.
.
>>유튜브홀릭
>>유튜브, '새로운 경험'을 충족하는 저렴한 방법
일반적으로 개인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창업, 자영업 등 외 IT 플랫폼을 통해서 개인수익창출 인프라가 구성되었다는 것에 열광하는 것이고 이를 시청하는 개인들도 나와 다른 삶, 경험, 욕구에 대한 재미 추구와 더불어 더우 고도화되리라 여겨집니다.
.
>>인간관계 리셋
>>알고 보는 문제는, '아는 사람'
표준 4인 가족의 소통문화가 1인 소통문화로 전환되면서 부가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관계의 변화가 더욱 고착화되기에 그럴수록 인간 본연의 모습과 소통이 중요해지는 시기가 될 것 같습니다.
.
>>회사가 개인을 통제하기 힘든 시대
>>퇴사와 창업, 다른 이유 같은 뿌리
거스를 수 없는 사회현상으로 점점 진화해 가고 있습니다. 돈이 없어도 시간이 없어도 공간이 없어도 나만을 위한 개인적인 시간은 확보 또는 존중해주지 않는 조직은 외면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기본적인 시각인 것 같습니다. 그러기에 이전의 세대와 경험치와 시각이 다른 부분을 빨리 인지하고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기존 세대의 몫일 것 같습니다.
.
>>꼰대 거부 현상
>>꼰대의 소통 방식의 불편한 이유
저도 꼰대 중 한 사람으로서 기존 관습처럼 행해져 왔던 것들이 이제는 밀레니얼 세대와 더불어 아니라고 명명되는 것들에 대해서 작별하는 것에 주저함이 없어야 될 것 같습니다. 갑질이라고 표현되는 기득권층의 관습, 성의 관습적인 시각의 변화의 미투 운동, 이제는 바뀌어야 할 소수자(장애인, 난민, 동성애 등)의 인식들이 기존 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관념적인 시각들이 소득수준이 높아지므로 해서 자연스럽게 겪어야 되는 현상들일 것 같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나의 나라'로
>>모든 사회 이슈를 '나'의 시점으로 바라보다
개인주의, 사회주의 등의 정치, 사회적인 이론들을 배제하더라도 '나' 즉, 개인의 행복 추구의 방향으로 흐르는 것 같습니다. 소득수준과 별개로 오히려 수득 불균형이 심화될수록 '우리'라는 개념은 희석되고 '나'와 관련된 상품, 정치, 경제, 사회적인 주류가 대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책추천 #책리뷰 #북딥체인저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bookstagram #books #책 #추천도서 #독서 #독서스타그램 #instabook #일상 #글 #취미 #일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