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스토밍에서 벗어나자! - 새로운 아이디어의 발상! 내일이 달라지는 9가지 사고 방법
노병주 지음 / 지식과감성#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적으로 아이디어 도출방법으로 브레인스토밍을 떠올리는데 책 제목에서처럼 '브레인스토밍에서 벗어나자!'라는 문구에 이끌려 읽게 된 책입니다.

책에서 브레인스토밍 방법이 아닌 9가지 아이디어 사고 방법 및 발상 과정의 핵심 포인트에 대해서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계별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아이디어 발상이 추출이 되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 IDEA Thinking Process의 필요성
<브레인스토밍을 벗어나기 위해 아이디어 발상 과정을 학습하자>
기존의 발상법인 브레인스토밍, 브레인라이팅, SCAMPER, 강제결합법, 만다라트 등 다양한 발상법이 있기에 각각의 장단점에 대한 대체 방법으로 IDEA Thinking Process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기에 실제 적용 사례의 성공, 실패 사례와 관계없이 도입에 대한 판단은 각자 독자의 판단이기에 이 서평에서는 IDEA Thinking Process에 대한 객관적인 내용으로만 서술하고자 합니다.

※ 제안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 구성의 원리
(1) 아이디어는 Concept과 How To로 기술하자
Concept과 How To의 적절한 조화 즉, 공간적으로 개인에서 제안된 Concept를 조직에서 How To를 완성해 간다는 의미일 것 같습니다. 시간적으로 3:7의 비율로 투입해서 효율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체계적인 검토를 위한 세분화의 원리
(2)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을 위해 세분화부터 시작하자
아이디어 도출 과정상에서 검토되는 항목과 누락되는 항목에 세분화 요소를 가미해서 누락되는 항목에 대한 검토를 강화 즉, 세분화해서 보자는 것입니다. 과정상에서 특성에 대한 세분화와 시간, 공간에 의한 세분화를 통해서 누락 없이 꼼꼼히 체크하자는 것입니다.

※ 창의성 확보를 위한 벤치마킹의 원리
(3) 벤치마킹을 통한 새로운 조합으로 아이디어를 창출하자
벤치마킹이라고 해서 창의성이 결여된 방식이라는 의견들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책에서의 벤치마킹의 원리는 사례에 대한 숨어 있는 개선 원리를 찾아내자는 것입니다. 개선 원리를 찾는 과정을 통해서 창의성을 발견하고 활용하자는 것입니다.

※ 가장 좋은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자원 활용의 원리
(4) 가장 좋은 아이디어는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다
책에서의 자원의 정의는 '목적 달성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정의합니다. 즉,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돌이나 물, 중력 등 환경적인 요소,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 등의 목적 달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말합니다.

 

※ 합리적인 체크를 위한 파라미터의 원리
(5)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파라미터를 체크하자
개선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수(제품의 재질, 시간적, 물리적, 공간적 요소 등)를 도출하여 검토의 누락을 최소화하고 개선의 방향을 쉽게 도출하도록 유도하는 사고의 원리라고 말합니다.

※ 효과적 개선 포인트 도출을 위한 편리성 향상의 원리
(6) 아이디어 발상의 기본은 불편한 점을 개선하는 것이다
아이디어 도출 과정상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잘 나오지 않는 이유가 개선 포인트(불편한 점) 도출에 대한 인지스킬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그럼 인지스킬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사용자,제조과정,제품작동상의 불편/불만족을 찾는 습관이라 말합니다. 당연하듯 쉽게 간과해서 넘어간 내용들이어서 새롭게 인식이 됩니다.

※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 위한 기능 달성의 원리
(7)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기능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기능이란? [ function, 機能 ] 어떤 활동 분야에서 그 구성부분이 하는 구실 또는 작용 <네이버 사전> 을 말합니다. 즉, 제품의 성능, 성질, 방법에 대해서 집중하고 기능 달성의 원리를 이해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 혁신적인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삭제의 원리
(8) 기능 통합으로 삭제 아이디어를 도출하자
본래의 제품 존재의 이유인 기능은 유지하면서 삭제의 원리인 올바른 삭제를 통해서 제품의 개선이나 혁신을 하는 과정입니다. 혁신을 위해서는 제품 자체를 바꾸는즉, 존재의 이유의 개념을 바꾸는 혁신 과정도 하나의 축일 것 같습니다.

※ 다양한 극복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원리
(9) 문제의 원인은 컨트롤 가능한 인자의 조합으로 분석하자
문제는 찾는 것이 아니라 설정,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다양한 사고를 유도하는 분석 노하우가 단시일 내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쉽게 접근 가능한 문제 설정부터 진행한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체계적으로 생각해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브레인스토밍에서벗어나자 #노병주 #지식과감성 #아이디어발상과정 #IDEAThinkingProcess #아이디어발상 #아이디어발상법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체계적으로 생각해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