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3 - 최후의 노력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3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가 ‘최후의 노력’이다. 읽어보면 12권보다는 낫다. 적어도 이 시대는 마지막으로 로마를 다시 세워보려는 노력의 시대다. 12권에서처럼 쉴새없이 황제가 바뀌는 시대는 적어도 아니다. 하지만 여전히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동시대에 살던 로마인들은 어떤 느낌이었을까? 그들도 답답하다고 느꼈을까? 아니면 그냥 체념하고 살았을까? 그들에게는 찬란한 과거가 있었기에 오히려 더 참기가 힘들었을 수도 있다. 흔히들 과거를 영웅적으로 미화하지만, 세계사를 보았을 때 로마야말로 정말 그렇게 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가 아닐까?




13권은 디오클레티아누스와 콘스탄티누스가 각각 절반씩 나온다. 그리고 사두정치도 등장한다. 사두정치는 로마로서는 참 창피한 정치 체제다. 물밀 듯이 밀려오는 주변 민족들을 공격 때문에 결국은 적어도 4명의 방위사령관이 필요해졌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결국은 이런 혼란을 거치며서, 원수정에서 절대군주정으로 바뀌게 된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로마 황제의 모습은 사실 절대군주에 해당한다. 영화나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모습을 13권에서야 비로소 보게되는 것이다. 나 역시 그전에는 로마에 대하여 아는 것이 없기에, 로마 황제를 떠올리면 무소불위의 권력을 바탕으로 폭군처럼 군림하는 통치자의 모습이 그려졌다. 하지만 그동안 읽었던 로마인 이야기에 따르면 그것은 전성기 시절 황제의 모습은 아니었다.

   

그리고 콘스탄티누스는 역사책에서 배울 때는 위대한 황제 중 하나로 기술되어 있었는데, 적어도 시오노 나나미의 눈에는 로마를 제대로 망친 황제다. 시오노 나나미가 기독교에 대하여 그다지 좋은 관점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그에 따르면 이 황제가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은 기독교 진흥에 앞장 섰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오히려 이 황제의 등장으로 실질적인 중세가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중세는 흔히 암흑의 시대라고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 시대에 항상 갖게 되는 의문이 있다. 역사상 이렇게 오랜 시간(거의 천년)을 특정 종교에 의하여 지배받은 시대도 흔치 않다. 그런데 오히려 이 시대를 암흑의 시대라고 한다. 교황이 거의 절대 권력을 가지고 있었던 시대, 기독교 입장에서는 유럽에서 가장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친 시대였는데, 왜 암흑일까? 물론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문예 부흥이 생기고, 종교 개혁도 일어나며, 정치적으로 시민 혁명이 발생하지만, 이런 흐름의 중심에는 중세 타도가 있었다. 특정 종교를 비판하려는 것은 절대 아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항상 풀리지 않는 의문이다. 그냥 오늘도 여전히 신의 뜻을 빌어 백성을 지배한 인간의 욕심 탓으로 돌리지만, 그것이 전부일까?




이야기는 4두정치의 등장과 황제의 깔끔한 퇴위, 막센티우스와 콘스탄티누스의 312년 밀비우스 다리 전투로 이어진다. 읽으면서 중간에 특히 기억나는 것이 있다. 디오나클레티아누스가 나중에 당하는 수모(막시미아누스 다이아가 아내와 딸을 감옥에 넣었다가 오리엔트로 추방시킴)는 이십년씩이나 절대권력을 휘두른 사람도 정작 자리에서 물러나면 어떤 대접을 받는지를 보여 준다.







p. 29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처럼 짧은 기간에 삼분된 제국을 통합할 정도로 군사적 재능이 있는 것이 아님 -> 막시미아누스를 카이사르에 임명하여 양두정치 시작 -> 8년 동안 안정적으로 제국 운영, 로마에는 가지 않음




p. 40 사두정치의 시작 : 정제와 부제

동방 정제 디오클레티아누스

동방 부제 갈레리우스

서방 정제 막시미아누스

서방 부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p. 71 로마 시민권은 이제 취득권이 아니라, 누구나 갖는 기득권이 됨.

원로원 의석 : 과거에는 최고의 영예 -> 더 이상 동경의 대상이 아님 -> 민간 경력과 군대 경력의 분리 -> 정무와 군무를 모두 경험하여 양쪽에 정통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불가능




p. 71 로마군의 야만족화 : 이것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로마군이 기병을 주전력으로 삼고, 군대 경력과 민간 경력이 분리되어 야만족화 된 것임 :야만족이 로마화할 의욕을 잃어버렸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




p. 73 로마군 병사는 30만에서 60만명으로 늘어났지만, 국경방위선은 오히려 약체화

p. 75 아우구스투스부터는 원수정, 디오클레티아누스 이후는 절대군주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