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포트리스 2
댄 브라운 지음, 이창식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가끔 시리즈 중에서 2권에 서평을 올리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두 군데에 모두 올린다. 물론 다른 내용으로..

이 서평에서는 특히 2권에 해당하는 내용을 주로 말하고 싶다. 책의 줄거리는 굳이 정리하지 않을 것이다. 추리소설과 같은 이런 종류의 책에서는 더욱 금기해야할 것 같다.

서로 얽혀있는 몇 가지 이야기들이 나중에서야 풀리는 스토리 전개는 수준급이었다. 특히 1권에서 깔리는 수많은 복선과 암시들이 2권에서 착착 연결되어 풀리는 부분은 흥미로웠다. 잘 맞은 지퍼 양쪽과 같다고 할까?

탄카도의 반지, 데이비드 베커와 주인공 수잔 플래처의 사랑, 국장과 주변 인물들간의 긴장 관계, 동업자 노스다코다의 비밀, 반지를 되찾기 위한 데이비드의 우여곡절, 차트루키언의 직관에 대한 독자의 생각 변화, 헤일과 스트래스모어 사이의 대화 등을 모두 엮어야 이 소설의 줄거리가 정리된다. 몇 번의 극적인 반전도 재미를 더한다. 다만 2권 중반도 안 되어 너무 일찍 범인이 드러나는 것이 좀 아쉽다.

또 마지막에 숫자를 찾는 부분은 이공계를 전공한 내게 오히려 이상한 느낌까지 들었다. 컴퓨터 전문가들이면 이공계 출신이 많을 터(미국이라서 그런가?)인데, 그렇게까지 그 문제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접근하다니...

다만 아쉬운 것은 이 소설이 빅 브라더의 출현, 국가의 개인 사생활 감시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을 더 많이 드러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유럽 언어에 대한 다양한 지식, 방화벽과 바이러스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설득적인 접근, 국가 기밀을 다루는 기관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 등을 잘 이용하였다는 점도 재미를 더 한다.

 

한 가지 더. 거의 모든 관련자들이 수잔의 성적인 매력에 끌린다는 점은 조금 억지스러운 점이 있다. 통속적 재미를 더할지는 모르겠으나, 그다지 적절한지(더구나 머리까지 좋은데 육체적 매력까지 넘친다?) 모르겠다. 특히 60에 가까운 미지에 대한 성적 호기심을 묘사하는 부분은 불필요하다는 생각까지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