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아무도 NO라고 말하지 않는가?
제리 B. 하비 지음, 황상민 해제, 이수옥 옮김 / 크레듀(credu)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사실 추천을 받은 책도 아니고, 그냥 우연히 옆에 있어서 본 책인데 재밌게 봤다. 두껍기는 하지만, 글씨도 크고 내용도 쉬워서 쉽게 읽힌다.

특히 첫 꼭지에 나오는 에빌린 파라독스 부분은 읽으면서 혼자 한참 웃었을 정도로 공감이 간다. 한편의 코미디였지만, 그게 내 생활의 일부라는 점에서 웃으면서도 씁쓸했다. (자세한 내용은 소개를 하면 안 될 것 같아서 생략합니다)

나역시 전혀 원치 않고, 다른 사람도 원치 않는데 어느 순간부터 그 방향으로 가고 있는 느낌! 해피 미디엄이라고 했던가? 협상은 그 누구도 만족할 수 없다는 말도 떠오른다. 그저 그냥 중간쯤에서 타협하는 것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그 중간쯤 타협이 아무도 원치 않는, 최악(또는 파멸)의 결정이라면 누군가는 'no'라고 말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그게 쉽지 않다. 아니 나이가 들수록 더더욱 어렵다. 나만 바보되는 것 같고, 불필요하게 주목 받는 것 같고. 어릴 적에는 이런 생각이 들면 거의 무조건 말하다시피 했는데, 그러면서 많이 튀다보니 이제는 그냥 가려는 경향이 많아졌다.

다만 단점이라면 첫번째 꼭지에 해당하는 '에빌린 패러독스'는 공감이 가고 명쾌한데, 다른 부분은 첫부분만 못하다. (내 독해력의 수준을 드러내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하지만 이 용어만큼은 알아두면 꼭 쓸모가 있을 것이다. 그만큼 주변에 그런 예가 많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