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
알랭 드 보통 지음, 이강룡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달 전에 주로 소설을 읽고 온라인으로 그 감상을 서로 나누는 어느 독서모임에 가입했다. 알랭 드 보통의 소설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이하 <키스...>)과 철학 에세이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은 그 모임에서 선정한 그 달의 도서였다. 제목에서부터 궁금증을 유발하는 신선함이 느껴지는 책들이었다.

주문한 책을 받아 들었을 때의 첫 느낌 역시 제목에서 느꼈던 것과 비슷한 신선함이었다. 두 책은 마치 쌍둥이처럼 닮아 있는데, 표지 디자인과 판형이 기존의 다른 소설책이나 에세이집과는 상당히 달랐다. 책장 넘기기가 용이한 제책 방식에 간지용 색실 부착까지 일단 '외모'는 상당히 맘에 들었다. 첫 만남에서 이 책은 말하자면 좀더 만나보고 싶은 '상대'로서 충분한 평점을 얻은 셈이다.

각설하고, <키스...>는 상당히 낯선 느낌을 주는 소설이었다. 전기(傳記)의 형식을 차용한 것이 그렇고, 주인공이 실제 인물인 점 또한 그랬다. 이 소설은 주인공 이사벨에 관한 이야기 중간중간 전기작가들의 주인공에 대한 태도나 글쓰기, 혹은 그들의 글을 인요한 부분은 전기작가들이 참고해도 좋을 만큼 실용서의 분위기도 갖고 있다. 게다가 설문, 도표, 사진 등은 소설에서는 보기 드문 요소들이라 소설이라가보다는 한 남자가 연애를 하면서 쓴 일기 같은 느낌도 들었다. 읽는 동안 종종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은밀학 훔쳐보는 기분이 들었던 것은 이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 이사벨은 전기의 주인공으로서, 소설의 주인공으로서도 너무 평범해 보인다. 오히려 그 점이 나에게 어떤 공감을 주었던 것 같다. 부모형제와의 관계, 친구들과의 관계, 어린시절, 직장생활, 생활태도 등 이사벨의 면면들이 나와 무척 닮아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여동생이나 엄마에게 애정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염증을 느끼는 점, '그러면 좀 어때' 하다가도 짜증나는 상황이 닥치면 언제 그랬냐는 듯 돌변하는 태도, 소설 속 주인공(히스클리프)에 대한 짝사랑 등 우리들이 자라면서 혹은 성인이 된 후에도 흔히 보이는 태도와 생각들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는 30대 여성이 이사벨인 것이다. 이런 이사벨에 대한 공감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웃음이 터져 나왔다. 내가 여성이기 때문에 이사벨에게 전폭적인 공감을 느낀 반면 화자인 그는 남성이기 때문에 이사벨의 태도나 생각을 이해할 수 없는 지점이 발생하는 것 같다. 따라서 남성 독자의 느낌은 또 다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소설은 이사벨이라는 한 여성에 대한 보고서인 동시에 만남에서 이별(이별하게 될 것으로 봤다)에 이른 남녀간의 연애에 대한 보고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스...>는 작은 에피소드들로부터 어떻게 여성의 특징을 읽어 낼 수 있으며, 어떻게 남녀의 차이를 읽어 낼 수 있는지를 알려주었다는 점에서 나에게는 매우 신선한 소설이었다. 또한 사소하고 일상적인 이야기들로부터 한편의 소설 혹은 '인문학적 보고서'를 만들어 내는 저자의 능력 또한 특별하게 다가왔다. 외모가 전부일 수는 없지만 이번 경우 '수려한' 용모만큼 내실 있는 '상대'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