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인생이란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모양이다. 나에게도 자전거란 물건이 생겼다. 우연찮게 중고자전거가 한 대가 굴러 들어온 것이다. 이름 하여 "탱고". 1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자전거와의 인연은 계속되고 있다.

김중혁의 소설 <펭귄 뉴스>, 한겨레신문에 실린 소설가 김연수의 '자전거 도둑', 그리고 홍은택의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을 읽은 게 지난 여름이었다. 한 권의 책, 한 꼭지의 글이 갖는 힘이란 게 이런 걸까. 나와 자전거의 인연은 그 무렵부터 시작되었던 것 같다.

가을부터 틈나는 대로 찾아갔던 여의도공원 시절을 마감하고, 탱고와 함께 홍제천 시절을 맞이하게 되었다. 지난 주말 탐색전을 마치고, 이번 주말부터 본격적인 홍제천-한강 달리기가 시작됐다. 이번주는 일단 상암 월드컵경기장에 있는 상암CGV 접수가 목표.

가끔 조조영화를 보러 다니던 곳이라 목표설정이 쉬웠다. 지하철의 침울함에서 벗어날 수 있다니, '오~ 그라시아스 탱고!'. 재일조선인 학교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우리 학교>를 낙점하고 상암으로 달렸다. 상암경기장의 돔이 눈에 들어올 즈음 쌩하니 앞질러가던 자전거가 힘좋게 오르막을 통과했다. 질세라 기어까지 풀고 애를 써봤지만 역시 아직은 역부족이었다.

자전거 보관소에 탱고를 맡겨놓고 극장으로 들어서려는데 앞질러 갔던 파마머리 언니가 바로 코 앞에서 주차 중이었다. 표를 끊고 돌아서려는데, 파마머리 언니도 "<우리 학교> 1장이요", 한다. 한달음에 호감도 100% 충전. 순간 어설픈 동질감까지 느껴졌다. 혼자 자전거를 달려 조조영화를, 그것도 같은 영화를 앞 뒤로 앉아 보는 인연이라니.

김동원 감독에 버금가는 따뜻함을 주는 다큐멘터리를 보고 나와, 기분 좋게 다음 스케쥴을 향해 달리는데, 뭔가가 '쿵' 하고 뒷바퀴를 찍었다. 순간 자전거가 넘어지고 무릎이 꺾이기는 했지만 무사히 착지. 일어서서 자전거를 움직이려는데 직직 타이어 끌리는 소리만 날뿐 구르지를 않았다. 에고고 뒷바퀴가 완전히 아작 났다. 

초등학교 고학년정도로 보이는 사내 아이까지 뒤에 태운 아저씨가 하필 뒷바퀴 중앙을 들이 박은 것이었다. 브레이크를 못 잡았다나. 아 이를 어째. 구르지도 않는 자전거를 어떻게 하면 좋단 말인가. 어찌어찌 상암경기장으로 다시 돌아가 근처 자전거 대여점에서 림이라는 타이어 안쪽 부품을 교체하는데 그만 1시간이 훌쩍 지나버렸다. 일정이 완전히 꼬여버린 것이다. 뒤에서 자전거 들어주고 수리비까지 낸데다 "저 때문에 늦어져서 죄송합니다",하는데 어쩌겠는가. 사노라면~ 할 수 밖에. 

미리 세워둔 일정을 포기하고 떨리는 가슴을 간신히 진정시키고 무사히 집으로 돌아왔다. 그제서야 팔 다리가 뻐근하고 몸이 축축한 게 느껴졌다. 역시 인생이란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모양이다. 그래도 어떻게든 굴러가는 게 또 인생이다. 자전거 바퀴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