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들은 자기의 우상이 무너지는 걸 원치 않는다. 그러니 그들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는 '멋지고 견고한 보스'라는 우상을 깨지 마라. 조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때로 페이크가 필요하다. 의연하라. 혼자일 때 외로움을 대하는 당신의 태도가 당신과 당신 회사의 내일을 결정한다."(42)



이 부분을 읽는데 좀 이상했다. 사장이 직원들의 우상인가? 나또한 워낙 오랜 시간동안 직원으로서 일해왔고, 직원들이 얼마나 넓고도 깊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사장을 욕할 수 있는지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심지어 사장을 욕하는 것은 사장의 인성이나 회사의 시스템이나 회사의 매출이나 그런 것과 별로 상관이 있는 것 같지도 않았다. 그냥 사장이기 때문에 씹는거다.)


알고 있음에도 나는 두려웠다. 인성이나 시스템이나 매출이나 그런 것과 상관도 없이 그냥 욕먹을 자리라면 과연 그것을 해야하는 것인가? 이제는 알 것 같다. 사장은 그냥 존재 자체만으로도 욕을 먹는 존재라는 것을. 그것이 권력이라는 것이다. 욕하면서도 그 말을 들을 수 밖에 없는 것. 뒤에서 욕하지만 앞에서 웃을수밖에 없는 것. 그런 자신을 감추고자 더욱더 욕하는 것. 그게 사장이라는 자리가 가지고 있는 권력의 의미다. 그렇게 보면 나는 권력을 두려워했나보다.



하지만 결국 무엇을 해도 욕을 먹는 것이라면 그건 내가 어찌할 수 없는 영역의 문제다. 즉, 꽤 괜찮은 사장이 되는 것과 욕을 먹지 않는 사장이 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인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은 하나뿐이다. 욕을 먹든 안 먹든 관심 끄고 사장으로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



사장의 역할이란 무엇일까? 다른 사람들은 생각하지 않지만 사장만이 해야하는 고민은 무엇일까? 나는 그것이 조직의 미래에 대한 고민이라고 생각한다. 직원들은 현재의 일만 잘하면 된다. 기껏 앞을 보아봤자 사업계획서를 세울 때 내년 1년이다. 그것도 그때뿐이다. 하지만 사장은 다르다. 사장은 지금의 문제를 타파함과 동시에 조직의 미래를 고민해야 한다.


조직의 미래를 고민한다는 건 곧 비전과 인사를 고민한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비전은 상상력이 만들고 조직은 곧 사람들의 모임이다. 나는 비전을 내걸고 그 비전을 향해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는 구심점이 되는 거다. 그런 구심점에 나도 직원도 결국은 자신의 길을 가는 와중에 만나서 인연을 맺는 거다.


회사는 직원들의 성과와 노력을 통해 성장하고 직원 또한 각자 자신의 커리어에서 우리 회사에서 일한 경험이 성공 사례로 남을 수 있어야 한다. 나를 스쳐간 사람은 모두 다 잘되어야 한다. 우리를 거치는 모든 사람이 성장한다는 것만이 내가 내세울 수 있는 최고의 베네핏 아닐까. 이 책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직원을 묶어 둘 제도적 장치는 없다. 오직 부와 명예, 비전으로 인재를 잡아야 한다." (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