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만을 보았다
그레구아르 들라쿠르 지음, 이선민 옮김 / 문학테라피 / 2015년 3월
평점 :
'짧게, 하지만 죽을 만큼 강렬하게' -
[행복만을 보았다] |
|
책장을 덮고 없던 약속까지
만들어가며 부러 술을 마시러 갔습니다. "행복만을 보았다"라는 아주 쉬운! 제목에 끌려 선뜻 손에 든 책이었고 마무리도 행복해 보이지만 저는 약간
우울해졌습니다. |
|
여보, 끝났어. 끝났다고,
미안해. 그래도 당신은……. 아니야, 제발 날 그냥 놓아줘. (44) |
|
쌍둥이 자매 중 한 아이의
죽음을 기점으로 찾을 수 없는 남편의 사랑을 빌미로 엄마는 어린 아들과 더 어린 딸을 버려두고 떠나버립니다. 그리고 다시는 가족을 찾아보지도
않습니다. 이런 부모도 있다! 는 걸 보여주려는 듯이. |
|
어머니는 열정 없는 삶보다
강렬한 고독을 원하셨고, 너무 높이 올라가지 않도록 추락을 감수하셨지. 죽도록 사랑하고 싶었지만 그냥 그렇게 살아갔던 거야. 어머니께서
말씀하셨지. 꼭 해야만 한다면 짧게, 하지만
죽을 만큼 강렬하게. 끝나고 나면 죽을 만큼. 이런 사랑 말고는 아무것도 없는 거야, 아들. (132) |
|
이야기의 흐름은 생각보다
강렬하고 충격적인 장면들이 등장하지만, 이 작가, 말을 다루는 실력이 좋습니다. 툭툭 던지듯 시작하는 에피소드들은 가벼운 수필을 읽는 듯
끌어당기고 나중에 펼쳐질 놀라운 이야기에 빠져들게 합니다. 하지만 이 책의 핵심 줄거리를 알고 나면 책 자체를 접할 맛이 확 줄어들기에 저는
그저 감탄사만 늘어놓으렵니다. 아주 잘 만든 영화 한 편 본 듯하였다고. 아마 곧 영화로도
제작되겠지요. |
|
시간이 필요하겠지요. 사람들이
내게 말했다. 더디고 힘겨운 재회가 되지 않겠어요. 어쩌면 다시는 못 만날지도 모르지요. 당장은 이 일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다른 것부터 해요.
멈추지 마요. 멈춰 있다가는 쓰러지고 말 거예요. (161) |
|
세상에 용서받을 수 있는 일과
그렇지 않은 일이 있다고 생각해 온 저에게 작가가 주인공의 가족사를 풀어나가는 방법은 조금은 충격적이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다시는 못 만날지도 모르'는
아이들을 생각하며 '다른
것부터 해'야함은 맞는
말이기도 합니다. 스스로 삶을 놓아버리지만 않는다면… |
|
정말
'어째서 우리는 그토록 그리웠던
사람들을 그들과 헤어져야 하는 순간이 되어서야 비로소 마주치게 되는 걸까 (170)' 요. |
|
부모님의 어긋난? 부족한!
사랑이 결국엔 아이들까지 이어지고 자신의 삶과 친구와의 관계 등도 한순간 무너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야기는 흘러갑니다. 그리고 도망치듯이
아니라 쫓겨가서 정착한 다른 삶에서 찾아드는 안식과 위안, 그 속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또 다른 아픈 이야기까지. 세상에는 불행한 이야기들이
그득합니다. 하지만 그 속에서 우리는 아이들과 함께 여전히 살아가며 자라나고 있습니다. |
|
어릴 땐 하늘에서 반짝이는 별은
더욱 멀리 보이고 꿈은 더욱 크게 보이는 거란다. 나무에 열린 사과를 따고 체리를 따기 위해 높이 뛰어올라 보렴. 무수히 많은 승리의 영광을
누릴 테니까. (214) |
|
어차피 살아가야 하는 삶이라면
좀 더 따듯하고 행복하게 긍정적으로 지내야 함은 당연한 말이지만 어릴 적 부모의 모자란 사랑이 가져오는 참담한 미래를 이 책은 세세히
보여줍니다. 어쩌면 작가가 전하는 이야기는 어릴 적 배우지 못하였지만 결국은 지금을 살아가는 방법에 관한 사랑이야기일
겁니다. |
|
그러니까 인생이란
결국 |
힘겹더라도 살아갈 만한 가치가
있는 것.
(295) |
|
작가의 맺음말에 공감하며 즐겨
읊조리는 말 하나 덧붙입니다. |
|
|
모든 삶은 실질적으로 단 하나의 순간으로
이루어진다. |
- 보르헤스, "알레프"
|
|
|
2015. 1. 9. 흔들리며 돌아오는 밤길,
꽃샘추위 몰아침은 봄이 곁에 와있는 까닭이겠지요.
^^; |
|
들풀처럼 |
|
*2015-00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