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김진명님은 시원한 소설을 쓰시는 분이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가 그랬고, "한반도"가 그랬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재미있는 책을 잡으면 끝장을 넘길 때까지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한다. 나 또한 이 책을 읽기 시작하고 끝장을 넘길 때까지 꼼짝도 하지 않고 끝까지 읽고야 말았다. 그만큼 소설은 흥미진진하며 이야기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다.
이런 책을 읽는다는 것은 행복하다. 독서의 가치를 "즐거움"에 두고 있는 나로서는 이런 책을 읽을 때가 가장 행복하다. 손에 한번 들면 끝을 봐야 하는 책. 그래서 나는 김진명님의 책을 좋아한다.
김진명님은 사실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번 "천년의 금서"에서도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국호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에 대한 김진명님의 말씀을 옮겨보자면
대한민국의 한이 어디서 왔느냐고 물으면 삼한이라고 대답하는 게 고작이다. 그러나 이 삼한이 어디서 왔는지는 누구도 알지 못한다.
나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의 국호인 한이 어디서 왔을까 하는 의문에 사로잡혀 한이라는 글자를 담고 있는 이 세상의 갖가지 오래된 기록들을 찾아헤매 왔다. 지구상의 온갖 서책을 다 뒤진다는 각오로 고군분투하던 내게 윤내현 교수의 중국 문헌에 대한 조언은 큰 도움이 되었다.
이 추적의 결과는 놀라운 것이었다.
기원전 7세기 무렵 편찬된 사서삼경 중의 한 권에서 나는 우리의 조상 한후(韓侯)라는 왕을 찾아낼 수 있었고, 후한의 대학자 왕부가 이 한후를 분명 우리의 조상이라고 확인한 저작과도 만날 수 있었다. 뻥 뚫린 상태로 있던 우리의 고대사에 고조선보다 훨씬 이전에 존재한 나라의 확고부동한 실체가 등장한 것이다.
"천년의 금서" 작가의 말 중에서
그렇다. 지금까지 우리는 대한민국의 한이 삼한(三韓)의 한(韓)에서 따왔다는 것으로만 알고 있었다. 하지만, 왜 국호를 만들면서 기껏 한반도 남쪽에 치우쳐있던 삼한을 계승한다고 했을까에 대한 이유를 알지 못했다. 이 소설에서는 이런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준다.
부끄럽지만, 사실 난 이 책을 읽기 전까지도 이런 생각을 해보지 못했다. 강산이 네번 바뀔 정도의 나이를 먹으면서도 아직까지 이런 생각을 한번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 창피하다. 아마 이런 것들이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문제점일 것이다. 아니, 역사 교육만의 문제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어쨌든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 문제가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김진명님은 이런 문제점을 책에서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식민사관에 근거한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문제점을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물론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아 있다. 책의 분량이 너무 짧았다. 이기적인 생각일지는 모르겠지만, 난 이 책이 최소한 세 권 정도는 되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좀더 상세한 이야기들과 흥미진진한 이야기들로 가득 찼으면 하는 것이 내 바람이다. 책을 너무 재미있게 읽어서인지 읽다보니 금방 책의 끝장을 넘기게 되었다. 실로 너무 큰 아쉬움이 남는다.
이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오마이뉴스에 올라온
김진명의 인터뷰 기사를 읽고서였다. 인터뷰 기사에서 김진명님은 확신에 가득 차 있었고, 책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들을 알려주어, 소설의 내용이 무척 궁금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읽기 시작한 이 책을 감사하게 생각한다.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읽으면서 생각을 할 수 있는 책이며, 우리 민족의 시초에 대해, 역사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