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들에게 희망을 (반양장)
트리나 포올러스 지음 / 시공주니어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원래 이 책은 아이들을 위해 주문했다. 이전에 주문해놓은 책들을 거의 다 읽어 새 책들을 주문하면서 아이들을 위한 책들도 몇 권 주문했는데, 책 소개를 읽고 아이들이 좋아할 것 같아 함께 주문했다. 책을 받아 들고 살펴보니 그림도 많고 이야기도 간결해서 아이들에게 괜찮겠구나 싶었는데 막상 책을 읽어보니 이 책은 아이들을 위한 책이라기보다는 어른들을 위한 동화라는 편이 맞을 것 같다.
호랑애벌레로 세상에 태어나 먹고 자는 것 외에 다른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은 이후 보게 된 높다란 애벌레 탑. 많은 애벌레들이 그 탑을 오르고 있다. 호랑애벌레는 다른 애벌레들이 왜 이 탑을 오르려고 하는지 무척 궁금했고 저 높은 곳에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했다. 그런 궁금증을 갖고 호랑애벌레도 다른 애벌레들과 함께 애벌레 탑을 오르기 시작한다.
다른 애벌레들을 짓밟고라도 애벌레 탑의 높은 곳, 꼭대기를 향해 올라가려는 처절한 몸부림, 하지만 애벌레 탑의 높은 곳에는 정작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왜 오르려고 하는지도 모르면서 다른 애벌레들이 올라가니까 지지 않기 위해 따라서 올라가려는 몸부림, 이 모습들이 우리들 그리고 우리 아이들의 모습인 것 같아 마음이 편치 않았다. 분명 몸 안에는 멋진 나비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걸 깨닫지 못하고 한낱 못난 애벌레로 살며 다른 이들에게 지지 않기 위해 다른 이들을 짓밟는 짓을 서슴치 않는 모습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다.
사랑하는 이도 뿌리치고 다른 애벌레들을 짓밟으며 원하던 그 높은 곳에 올랐지만, 거기에는 아무 것도 없고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세상에는 이런 잔인한 애벌레 탑만이 수없이 많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구절에서는 이제서라도 그걸 깨닫게 되었다는 것이 다행스러웠다. 아무 것도 없는 그 애벌레 탑을 오르기 위해 발버둥치는 애벌레들은 애벌레 탑의 꼭대기에 오르기 전까지는 세상의 참모습을 보지도 못 할 테고, 평생 그 애벌레 탑에서 다른 이들을 짓밟으며 다른 이들에게 짓밟히며 그렇게 살아갈 것을 생각하면, 그걸 깨달았다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큰 일인가.
세상의 참모습을 본 이후 혐오스러운 애벌레 탑을 벗어나 호랑애벌레에서 한 마리의 멋진 나비로 다시 태어나는 곳에서는 "우리는 이런 삶을 원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멋진 나비로 살고 싶지만 애벌레 탑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아직도 아둥바둥 살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을 생각하니 모든 것을 벗어버리고 나비로 탈피하듯 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깨달음을 얻어 애벌레 탑을 벗어나 나비로 탈피하는 행운을 얻지 못한 그저 그런 수많은 애벌레들은 오늘도 다른 애벌레들을 짓밟으며 아무 것도 없는 애벌레 탑을 오르기 위해 발버둥을 치고 있다. 나를 비롯한 세상의 수많은 애벌레들이 이제는 세상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으면 좋겠다. 이 세상이 어떤 곳인지 깨닫기 위해서는 저 흉칙한 애벌레 탑의 꼭대기까지 올라가봐야 하는 걸까?
책을 다 읽고 이 책은 아이들이 조금 더 크면 주기로 마음 먹었다. 지금이라도 이 책을 한 권의 그림책이라고 생각하며 가볍게 볼 수도 있겠지만, 책 내용에 대해 아이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애벌레 탑이 의미하는 것, 다른 애벌레들을 짓밟으며 올라가야 하는 것들을 이야기해줘야 할 텐데, 아직까지는 아이들에게 이 세상이 어떤 곳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싶지는 않다. 지금은 그저 좋은 것만 보고 행복하게 즐기기에도 하루가 짧지 않는가. 아이들이 더 커서 세상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게 되고 힘들어 할 때 이 책을 함께 읽으며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에 대해 그리고 나비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아마 그때쯤이면 지금보다는 더 이 세상에 대해 뭔가 의미 있는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해줄 수 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