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빈치 코드 - 전2권 세트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다빈치 코드>의 가장 큰 장점은 '빼어난 구성'이다. 그야말로 서말의 구슬을 한 줄에 꿰듯이 사건들이 정교하게 엇물리고 끊임없이 이어진다. 대중소설에 있어서 치밀한 구성이란 가장 큰 덕목이다. 사실 장편 소설 하나를 일관성 있고 논리적으로 엮는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야말로 하나의 세계를 '제대로' 창조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작가로서는 대단히 오랫동안 수고를 해야 할 것이다.



국내의 대중소설들이 이런 치밀한 구성을 보여주는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내가 과문해서이겠지만 <소설 동의보감>은 정말 재미와 교양 등을 모두 보여주는 수작이지만 안타깝게도 작가가 집필 도중 돌아가신 관계로 미완이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같은 초대형 베스트셀러도 사실 시대적 상황이 크게 작용하여 민족적 감상주의가 먹힌 탓에 그만큼 호응을 얻었지 작품 자체의 구성과 전개를 볼 때 그렇게 빼어난 수작은 아닌 것 같다.



어쨌든 <다빈치 코드>는 대중 작품이 사용할 수 있는 재미적 요소들을 그야말로 총동원했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잘 조합하고 세련되게 다듬었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뭐랄까 어떤 문학적 혼이랄까... 잘 쓴 대중소설이야 그렇다 쳐도 훌륭한 대중소설이라면, 거기에도 혼이 깃들어야 한다.



그런 예를 우리는 <스티븐 킹>에게서 볼 수 있다. 어쩌면 스티븐 킹이 이 작가보다 구성이나 전개가 치밀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작품에서는 인물과 사건을 관통하는 어떤 치열한 것, 뜨거운 그 무엇이 있다. 그것이 작품 전체를 확 끌어당기는 것이며 그 진동이 독자의 가슴을 울리는 것이다. 케리와 미저리, 그린 마일 등에서 보여주는 것들... 인간의 깊숙한 내면을 끄집어내려는 집요한 욕망과 그 적나라한 묘사 등은 단연코 대중 문학에도 문학적 혼이 깃들 수 있으며 그래야 최상이 작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다빈치 코드>를 스티븐 킹의 작품들과 같은 선상에 놓고 비교하는 것은 그리 합당치 않다. 이 작품에는 그것과는 다른 차원의 또 다른 재미가 있으니까. 어쩌면 이렇게 다채로운 소재와 풍부한 이야깃거리들을 살리기 위해서는 그런 격정이나 문학적 혼 등을 희생시켜야 할지도 모른다. 사실 재미라는 것은 취향에 따라 기준이 다른 것이다. 나로서는 조금 아쉬운 것도 있지만, 서스펜스와 스릴, 액션, 추리, 뜻밖의 반전 등을 원하시는 독자들은 충분히 재미를 만끽하실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