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중그네 ㅣ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예로부터 일본은 좀 독특한 문화를 형성해왔다.
사무라이 문화도 그렇고 혼네, 체면, 또 음.. 음.. 기억이 안 나서 생략...
아무튼... 좀 이상하고 얄굿은 녀석들인데
소설마저도 그렇다.
이건 뭐 본격 소설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주 가벼운 명랑소설도 아닌 것이
참 일본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오쿠다 히데오와는 좀 다르지만
아사다 지로 또한 단편소설을 대중적으로 소화하는
작가다. <철도원>도 그렇고 우리나라에서 영화화됐던
<파이란>같은 것도 얼마나 거리낌없는 작품인가.
거추장스러운 문학적 장식 따위는 발 붙일 틈도 없다.
그런 의미에서 <공중그네>에 나오는 주인공들이
대부분 현실에서 좀 동떨어진 직업을 가졌는지도 모르겠다.
현실적이면 심각해질 수 있으니까 좀 떨어뜨리는 거지.
야쿠자 중간보스, 서커스 단원, 신경과 의사, 야구선수, 베스트셀러 작가...
직업은 고사하고 그들의 문제의식 또한 기발하다.
송곳 등을 두려워하는 야쿠자,
공중그네에서 자꾸 떨어지는 서커스 당원,
장인의 가발을 벗기고 싶은 충동에 시달리는 신경과 의사,
1루로 공을 똑바로 못 던지는 야구선수,
자기 작품의 등장인물을 기억하지 못하는 작가...
그러나 가장 문제적인 것은 역시 정신과 의사 아라부의 캐릭터...
그야말로 명랑만화에나 완벽하게 어울릴 캐릭터를
버젓이 문학작품의 캐릭터로 쓰는 데는 두손두발 다 들었다.
아... 나쁘지 않다고 본다.
문학이 별거냐.
당대 대중들과 즐겁게 호흡하는 것 또한 문학의 의무다.
그런 다양성이 공존하는 일본이 부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