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종교개혁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루터와 그의 개혁에 대한 정치 지도자들의 폭넓은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개혁에 대한 정치적 지원의 바탕에는 로마를 향한 독일의 정치적 불만이 있었고, 여기에 루터 자신의 개인적 소명의식이 결합하면서 루터는 개혁가로 거듭나게 되었다. 개혁가 루터의 목표는 정통 그리스도교의 회복이었으며, 그것의 핵심은 성경이 강조하는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있었다.

1517년 '95개 논제'에서 1521년 보름스 제국의회에 이르는 일련의 사태를 계기로 루터는 개혁에 착수했다. 그보다 앞서 개혁을 시도한 인물들이 있었지만, 그들이 실패했던 곳에서 루터는 성공을 거두었다. 그 성공의 배경에는 동료 및 다른 개혁가들의 활동, 인문주의와 출판 인쇄물의 혜택 등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정치 지도자들의 지지와 후원을 빼놓을 수 없다. 사실상 종교개혁은 시초부터 정치적이었으며, 종교개혁의 운명을 결정할 사람은 루터가 아니라 카를 5세 황제였다. 황제는 개혁 세력에게 정치적이면서 종교적인 탄압을 가했고, 탄압에 맞서는 동안 루터와 그의 동료들은 지방에서 제국에 이르는 모든 층위의 정치와 얽히게 되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종교개혁은 정치와 복잡하게 얽혀들어 갔지만, 이 흐름에서 실질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 루터였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루터의 95개 논제에는 '대사/면죄부'뿐만 아니라 교황에 대한 공격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로마는 신속하게 루터를 파문했다. 로마의 대응에도 루터는 멈추지 않고 독일에 대한 로마의 착취와 폐해를 비판하는 글들을 출판했다. 루터의 저술들은 귀족들의 정치적 지지와 동료 학자들의 학문적 지원을 받으면서 로마에 대한 불만으로 가득 찼던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와 동시에 루터의 내면에는 개혁을 이끌도록 하느님이 자신을 부르셨다는 확신이 자리잡고 있었다. 하느님의 은총으로 '의로움'에 대한 깨달음을 얻은 루터는 그 깨달음을 바탕으로 신학적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았다. 이를 기초로 로마의 낡은 지침을 대체하는 신앙생활의 필수적 안내서들을 새롭게 펴냈다. 루터는 생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개혁은 '하느님의 사업'이며, 자신은 그 일에 부름받은 '하느님의 대리자'라고 생각했다.

루터는 새로운 그리스도교가 아닌 정통 그리스도교의 회복을 원했다. 그가 바라던 그리스도교는 '오직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올바른 믿음과 선행 및 바른 성사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러한 내용은 성경을 근거로 한 것이었다. 다른 어떤 책보다 성경을 중시했던 루터는 성경을 직접 독일어로 번역했다. 루터의 성경 번역은 성경의 정확한 의미를 찾는 해석 작업이었으며, 해석의 기준은 복음이었다. 그는 복음을 그리스도에 대한 담론으로 정의했다. 이 복음에서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옹호하는 성경의 권위가 드러난다. 그러한 의미에서 '오직 성경'이라는 구호는 성경이 모든 쟁점에 대해 배타적 권위를 지닌다는 주장이 아니라 교회 안의 쟁점에 관해 최고의 권위를 지닌다는 의미이다. 루터에게 성경의 권위는 성경이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정의하고 강조한다는 사실에서 비롯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루터는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해 중세 교회의 낡은 전통과 대립하며 그리스도교를 바로 세우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개혁이 실패할까 노심초사했으며, 실제로 돌이킬 수 없는 분열로 이어진 개혁의 결과는 그가 세웠던 그리스도교의 새로운 비전이 실현될 수 없는 이상향에 가까운 것이었음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일락 향기다. 벌써? 걸음을 멈추고 잠깐 눈을 감는다. 해마다 라일락 향기는 이렇게 살짝 놀래키면서 찾아온다. 봄바람과 함께 온다. 늦은 봄 초저녁 라일락 향기 실은 포근한 바람이 불쑥 찾아왔다. 누군가 건네는 따뜻한 말 한마디처럼.

"이러한 순간들을 감지하고 잠깐이라도 그 순간을 붙잡고" 있는 것. 기도로 '들어가며' 준비할 것은 이것이 전부라고, "잠깐이면 충분"하다고 《기도》는 이야기한다. 쉬우면서도 쉽지 않은 출발이다. 세상이 너무 빠르기 때문이다. 빠른 세상을 탓하면서도 속도를 늦추지 못하는 것은 살아남기 위해서다. 살려고 점점 더 속도를 내지만 빠른 속도가 우리를 살리지 못한다는 것 또한 잘 안다. 느리게 살 수 있다면 좋겠으나, 당장은 "속도를 늦추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도》는 하루 중 고요한 '순간'을 만들고 그 순간 혼탁한 내면을 맑게 가라앉히는 것이 기도 '시작하기'라고 말한다.

시작하기가 고요함에서 출발했던 것처럼 '더 깊게 들어가기'의 첫 번째 단계도 침묵이다. 고요한 순간에 시작된 기도가 귀 기울이기로 이어진다면, 침묵에서 더 깊게 들어가는 기도는 응시하기로 깊어진다. 고요함 속에서 침묵을 유지하는 것, 귀 기울이고 또 응시하는 것, 이것은 모두 수동적인 행위이다. 말을 건네는 것도,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것도 우리가 하는 일은 아니다. 《기도》는 억지로 뭔가를 해야 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엄포를 놓거나 윽박지르는 대신, '걱정하지 마라',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그럴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기도는 의무도 숙제도 무거운 짐도 아니다. 기도는 선물이며 우리는 그 선물을 받아서 누리기만 하면 된다.

선물이 아무리 좋아도 시간이 지나면 흥미를 잃게 된다. 선물의 가치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사람 마음이 쉽게 변하기 때문이다. 《기도》는 우리가 때때로 지루함과 무기력함에 빠지는 것은 기도의 여정이 사막을 지나고 있기 때문이며, 이는 성숙한 신앙으로 가기 위한 필수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하느님께서는 이를 통해 그리스도교인들에게 자신의 감각을 의존하지 말고 당신에게만 의지하라고 가르치"신다. 사막을 통과하면서 하느님에게만 의지하는 법을 배우고 성장한 기도는 행동을 준비하는 것이다. 기도 자체가 곧 행동의 준비라는 의미이다. 하느님은 "어떻게둔 행동하는 길로 우리를 인도하"신다. 그러하기에 조바심을 내거나 지나친 죄책감에 시달릴 필요는 없다.

어린 시절부터 교회에 다녔지만 늘 기도가 쉽지 않았다. 이기적 욕망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기도 제목을 주루룩 늘어놓는 것이 민망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제 앞가림도 못하는 주제에 거창한 기도 제목을 주워섬기는 것도 위선처럼 느껴졌다. 모두 핑계일 뿐이지만, 마음의 동요 없이 꾸준히 한결같은 기도를 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어렵다. 《기도》를 읽고 다시 기도를 시작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고요한 순간, 침묵하는 시간을 새로 만들면서 선물 상자를 조심스럽게 풀고 있다. 따뜻한 말 한마디 건네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유원(지음), 《철학 고전 강의―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라티오, 2016.

첫 시간 요약

철학은 세상의 모든 '존재하는 것'을 탐구하는 학문이라는 의미에서 '존재론'(ontology)이다. 존재론은 세계의 근본 원리를 찾으려는 시도로서, 이러한 시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검토하기 위해 철학 고전 텍스트를 읽는다. 텍스트를 읽을 때는 자신이 무지한 상태임을 아는 것에서 출발한다.

철학의 탐구 대상은 세상의 모든 것—희랍어 'ta onta'—이다. ta onta, 세상의 모든 것,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한 탐구는 존재론이다. 제일철학이라고도 하는 존재론은 철학과 근원적으로 같은 말이다. 넓은 의미의 존재론에는 형이상학과 좁은 의미의 존재론이라는 두 가지 하위 영역이 있다. 형이상학은 인간의 감각적 능력의 범위를 넘어서는 '초월적인 것'을 다루고, 좁은 의미의 존재론은 초월적인 것을 제외한 감각적인 것을 다룬다. 형이상학은 아주 오래된 학문 분야이므로 '전통적 형이상학'이라 일컫는다. 전통적 형이상학은 우주론, 영혼론, 신론의 세 영역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영역 형이상학'이라고도 한다. 이들 영역에 관철되어 있는 원리를 찾으려는 시도를 '사변적인 것'이라고 하는데, 그에 따라 '사변 형이상학'이라 부르기도 한다.

전통적 형이상학과 존재론을 공부하는 것은 철학의 전 영역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적 원리를 터득하는 것이다. 헤시오도스는 서구 존재론의 씨앗을 보여주었으며, 파르메니데스와 헤라클레이토스는 세상 만물을 법칙에 따라 질서짓고 설명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플라톤은 '좋음'이라는 초월적 형상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그 위에 인간과 공동체를 세우려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감각에서 시작하여 부동의 원동자에 이르는 완결된 체계를 구축했다. 데카르트는 인간의 자기의식과 초월적 신을 진리 형성의 주요한 요소로 내세웠다. 칸트는 종래의 형이상학을 비판하고 도덕적 명령이 요구되는 지점에서 '장래의 형이상학'을 구상했다. 헤겔은 유한자인 인간이 역사성을 매개로 무한자의 입장에 올라선다고 하는 역사 형이상학 또는 역사 존재론을 제시했다.

이와 같은 개관을 염두에 두고 텍스트를 읽어 나가는데, 이때 가져야 할 태도는 '무지의 지', 즉 자신이 무지한 상태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플라톤은 대화편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무지의 지를 세 단계로 나누어 말한다. 첫째 단계는 자신의 무지를 알지 못하는 무지의 무지 단계이며, 둘째 단계는 특정한 분야의 앎은 가지고 있지만 '정말로 중요한 것에 대해서는 무지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를 극복하려면 셋째 단계인 자신의 무지를 철저히 자각하는 무지의 지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소크라테스가 내세우는 무지의 지는 인간이 자신의 삶과 그것에 결부된 앎 전체를 철저하게 다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전면적으로 다시 형성해 나갈 것을 요구하는, 일종의 존재론적 결단을 드러내는 것이다.

무지의 지라는 태도를 견지하면서 철학의 근본이 되는 형이상학과 존재론의 텍스트를 읽고 익히는 것. 이것은 근본학을 통해 자신의 앎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존재론적 결단의 실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칸트 實踐哲學의 基本的 問題 設定 構圖는 人間의 存在와 行爲를 規定하는 두 側面인 自然과 自由의 結合에 있다. 自然과 自由의 結合에 있어서 核心的 槪念은 ‘目的’이며, 이 目的이 形式的 實踐原理에 더해져 實質的 實踐原理가 形成된다. 實質的 實踐原理의 目標는 倫理的 德과 現實的 幸福을 結合한 最高善으로, 이는 人間이 社會的 存在로 轉化함으로써만 實現 可能하다.

自然에서 벌어지는 事態는 반드시 先行하는 原因을 가진다. 그러나 人間의 行爲는 어느 한 地點에서 原因을 自己 自身에게 돌려야 한다. 이렇게 自身의 行爲에 대해 責任지는 態度를 歸責性이라 하는데, 人間의 行爲는 自由라는 絶對的 自發性의 領域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歸責性을 갖게 된다. 칸트는 人間을 自然의 次元에서는 生命體이면서 同時에 理性的 存在者로, 自由의 次元에서는 理性的이면서 同時에 歸責性을 自覺하는 存在者로 보았다. 그리고 世界를 自然科學으로 探究할 수 있는 感覺的 世界와 絶對的 自發性으로서의 自由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知性的 世界로 區分했다. 이처럼 人間은 自然的 次元과 自由의 次元, 感覺的 世界와 知性的 世界를 同時에 살아가는 存在다. 여기서 自然과 自由의 어긋남을 調和시키는 問題가 登場한다.

理性的 存在者로서의 人間은 技倆과 手段으로 條件的 좋음을 만들고, 歸責性을 自覺하는 人間은 智慧의 能力으로 道德的 決斷을 통해 絶對的 좋음을 만든다. 그런데 칸트의 認識理論에 따르면 人間은 絶對的인 것을 알 수 없다. 그래서 칸트는 絶對的 좋음을 ‘要請’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絶對的 좋음을 어떻게 實現할 것인가? 知性的 世界에서 作動하는 形式的 實踐原理는 絶對的 좋음을 만드는 倫理的 德에 관한 原則이다. 形式的 實踐原理로 倫理性은 確保할 수 있어도 倫理的 行爲에 따르는 現實的 充足感, 즉 幸福은 얻을 수 없다. 現實的 幸福을 얻으려면 形式的 實踐原理에 ‘目的을 찾는 힘’이 덧붙여져야 한다. 目的을 이루기 위해서 人間은 自由라는 絶對的 自發性으로 自然的 性向을 克服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自然과 自由가 調和를 이루기 始作한다.

形式的 實踐原理에 目的을 찾는 힘이 더해져 實質的 實踐原理가 形成된다. 實質的 實踐原理의 目標는 倫理的 德과 現實的 幸福이 結合한 最高善이며, 最高善은 人間이 社會的 存在임을 前提할 때에만 意味 있는 槪念이다. 칸트에 따르면 “最高의 倫理的 善은 個個 人格이 그 自身의 道德的 完全性을 위하여 努力하는 것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最高善은 共同體的 善이며, 目的 또한 共同體的 目的이다. 칸트는 人間을 社會的 次元으로 끌어올렸다. 人間이 自己意識을 가진 存在로서 他者意識을 所有하면 社會的 意識이 形成된다. 이렇게 人間의 삶이 構造的으로 轉換되면 새로운 倫理가 要求되며, 그 過程에서 形成되는 社會的 交流는 人間에게 歸責性을 要求한다. 칸트는 歸責 能力이 없는 存在者를 ‘物件’이라고 불렀다. 社會的 存在者만이 人格性을 갖는다.

칸트의 實踐哲學에 있어서 最高善을 目標로 하는 實質的 實踐原理는 形式的 實踐原理에 目的을 찾는 힘이 더해짐으로써 形成되거니와 이때의 目的은 社會的 次元의 目的이다. 目的을 찾는 힘, 그리고 그것을 社會的 次元에서 考慮한다는 것이 칸트가 남긴 重要한 成果다. 目的을 認識하는 實踐理性은 칸트에 있어서는 理性의 思辨的 使用이라 할 수 있는데, 헤겔에 이르면 思辨은 積極的으로 思惟하는 態度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칸트의 認識理論은 現象을 만들어내는 直觀의 活動과 그 現象을 悟性의 形式으로 分析하여 對象認識으로 만들어내는 思惟의 事後的 活動으로 이루어진 構成說的 認識理論이다. 認識을 可能하게 하는 直觀의 形式인 時間과 空間, 悟性의 形式인 範疇는 內在的이면서 超越的이다. 認識의 先天的 合理性을 想定함으로써 限界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칸트는 이로써 科學을 救出하고자 하였다.

外部의 對象으로부터 感覺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感覺器官의 作用을 直觀이라 한다. 直觀은 單純하고 受動的인 活動이다. 이 直觀하는 能力을 感性이라 하며 直觀 活動을 통해 感性이 받아들인 것을 現象이라 한다. 直觀이 現象을 받아들일 때 空間과 時間이라는 直觀의 形式이 介入한다. 이렇게 해서 現象이 만들어지면 思惟가 悟性의 形式, 즉 範疇를 가지고 그 現象을 分析하여 對象認識을 만든다. 다시 말해 對象認識이란 直觀이 受動的으로 받아들여서 만들어낸 現象을 材料로 使用하여 範疇라는 悟性의 形式을 통해 思惟가 事後的 活動으로 構成해내는 것이다. 그래서 칸트의 認識理論을 構成說的 認識理論이라 부른다. 그런데 이 對象認識은 思惟 外部에 있는 本來의 對象과 合致하지 않는다. 칸트의 認識理論에 따르면 人間의 認識은 여기까지이며 對象의 本質인 物自體는 알 수 없다.

칸트 認識理論의 重要性은 認識이 簡單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思惟의 積極的 活動으로 構成해내는 側面이 있음과 그렇다 해도 人間은 對象의 本質은 결코 알 수 없음을 確證했다는 데에 있다. 이와 함께 空間과 時間이라는 直觀의 形式과 範疇라는 悟性의 形式은 人間에게 先天的으로 內在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形式을 使用하면 物自體를 알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共通의 認識은 만들어낼 수 있다. 이 形式은 經驗을 통해서 얻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經驗을 넘어선다는 意味에서 經驗 超越的이다. 이처럼 칸트는 人間 認識의 共通性을 確保하기 위해 內在的이면서 超越的인 直觀의 形式과 悟性의 形式을 想定하였다. 變化하는 對象을 一貫性 있게 把握하려면 不變의 基準이 必要한데 칸트는 그것을 人間 안에 둔 것이다. 이는 人間이 合理的 存在임 前提하는 칸트의 合理主義的 偏見이다.

理性은 部分的이면서 同時에 普遍的이다. 部分的인 理性이 普遍性을 確保하기 위해서는 不變의 基準이 必要했고, 칸트는 그 不變의 基準을 認識의 先天的 合理性에서 구했다. 그러나 先天的 合理性을 想定했을 뿐 證明하지는 않았다. 人間의 行爲는 複合的이다. 認識도 하나의 複合的 行爲로서 몇 가지 圖式으로 規定되지 않는다. 合理的 說明이 不可能한 事態가 있음에도 普遍性을 追求해야 하는 理由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왜 이러한 構圖를 設定했는가. 칸트를 ‘獨斷의 잠'에서 깨운 흄의 懷疑論은 經驗世界에서 確實性을 모두 除去해 버렸다. 이러한 狀況에서 뉴턴 物理學의 追從者였던 칸트는 最小限의 '通約可能性'을 確保함으로써 科學을 救出하기 위해 自身의 認識理論을 定立했다. 그러나 不變의 基準을 人間 內部에 想定함으로써 發生한 問題는 道德的 實踐의 問題에서도 계속 直面한다.

뉴턴 物理學의 追從者였던 칸트는 흄의 懷疑主義에 맞서 科學的 確實性을 確保하기 위해 人間 認識 主觀의 先天的 合理性에 根據한 構成說的 認識理論을 定立하였다. 18世紀 유럽의 複雜하고 混亂한 狀況 속에서 칸트의 哲學은 近代 哲學이 다다를 수 있는 最善의, 最適의 立場을 보여주었다. 그의 限界가 直面한 問題들은 道德的 實踐을 다루는 實踐哲學의 問題로 이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