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황제
셀마 라겔뢰프 지음, 안종현 옮김 / 다반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아오지 않는 딸을 기다리며

망상 속의 황제가 되어 버린 아버지!”


처음에는 이 책이 한편의 동화처럼 느껴졌다.

한 아버지의 딸에 대한 끝없는 사랑...

찬란히 빛나는 태양 같은 딸 클라라의 주위를 맴도는

지구 행성 같은 아버지 얀 안델손 하지만 동화는 현실의

잔인함을 이기지는 못 했던 듯...


늦은 나이에 결혼했고, 계획에 없는 자식이

생겨서 앞으로 인생이 피곤해지리라 생각한 얀.

하지만 딸을 처음으로 품에 안는 순간, 얀은 그녀를

향한 지극한 사랑을 느끼게 된다. 얀은 “태양의 빛”이라는

의미의 “클라라 피나 굴레보리”으로 딸의 이름을 짓게 된다.


평생을 에릭의 팔라 농장에서 성실하게 일해온 얀

그러나 농장 주인 에릭이 나무에 깔리는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되고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하게 된 후, 농장을 이어받은

잔인하고 교활한 사위 라스 군날손은 원래 없었던 오두막과 땅값을

얀에게 청구하게 된다. 빚을 갚지 않으면 얀 가족은 모두 쫓겨날 상황..


그런데 이제 열여덟 살 된 딸 클라라가 그 빚을

갚기 위해서 대도시인 스톡홀름으로 가서 일을 하겠다고 선언한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신에게는 오직 행복만을

주었던 딸이 집을 떠나겠다고 선언했을 때, 얀은

큰마음의 상처를 입고 고통을 겪게 되는데...


위에서도 얘기했듯, 이 책은 동화 같기도 하고 현실 속에서

펼쳐지는 마법을 이야기하는 한 편의 우화 같기도 하다.

그러나 다소 씁쓸한 면이 없지 않다. 대도시로 일하러 간

클라라가 매춘부 생활을 하게 되었다는 힌트가 책에 넘친다.

( 아무도 드러내놓고 이야기를 안 함 ) 그 사실을 알게 된

얀은 정신줄을 놓아버리고 광기에 휩싸인다.


그러면서 그는 딸 클라라가 포르투갈의 여황이 되었고

자신은 포르투갈의 황제가 되었다고 선언하면서

괴상망측한 모자를 쓰고 화려한 지팡이를 짚고 다니면서

사람들의 일과 삶에 간섭하기 시작하는데....


이 책의 키워드는 뭐니 뭐니 해도 “자식에 대한 부모의

지극한 사랑” 이 아닐까? 딸에게 품었던 이상과 냉정한

현실 사이의 괴리감을 극복하지 못한 얀의 내면은 균열되고

붕괴된다. 거대한 가죽 모자와 화려한 지팡이 그리고

반짝이는 금빛 별들은 그의 광기만큼이나 번득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에게 그의 광기는 오히려 딸에 대한

지극한 사랑으로 느껴졌다.


좀 더 깊이 있게 책을 들여다보면 “인간 소외와 도덕성” 문제

를 말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얀이 속해있던 마을은

계층이 나눠져있긴 하지만 서로 도와가며 보살피는 정이

있는 곳이다. 그러나 라스 같은 사람과 대도시로 간 클라라가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길을 가게 되고 이러한 인간 소외의

문제는 공동체의 균열로 이어지고 얀의 내면 붕괴는 

마치 그것을 상징하는 것처럼 보였다.


얀은 딸 클라라를 끝까지 사랑했으나

클라라는 부모의 사랑을 좀처럼 깨닫지 못한다.

어쩌면 지금도 많은 부모들은 자식으로 인한 마음의 상처를

다스리며 내리사랑을 반복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마치 동화처럼 순수하게 시작되었던 이야기는

예상치 못한 비극을 담고 있었으나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사랑과 용서"라는 단어가 가진 커다란 힘과 구원의 역할 등을

깨달을 수 있었다. 끝없는, 그야말로 무한한 부모의 사랑이라는

키워드를 이야기하는 듯한 [포르투갈의 황제]

단순하지만 깊이있는 메시지와 통찰력을 가진 이 책을

모두에게 추천한다.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