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로 보는 중국 기예 - 무대 위와 손끝에서 피어나는 중국의 문화예술
이민숙.송진영.이윤희 외 지음 / 소소의책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을 울고 웃게 하고,

다양한 삶의 모습을 그려내다!

예전에 “패왕별희”라는 중국 영화를 보고는 “경극”이라는 장르에 관심을 가진 적이 있다. 여장을 한 남자 배우의 간드러진 목소리와 장군 역할을 맡은 배우의 강렬한 연기.. 아직도 그때 느꼈던 충격은 희미하게 남아있다. 사실 한국인들에게 중국 기예는 경극 이외에는 크게 알려진 바가 많이 없다. 그래서인지 이 책은 읽는 내내 굉장히 신선하게 다가왔다. 순식간에 얼굴을 바꾸는 변검, 목소리 하나로 스토리를 재연하는 구기 그리고 현악기로 풀어내는 탄사까지.. 이 책은 중국의 전통과 현대를 잇는 16가지 기예에 대해 아주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한다.

이 책에서 흥미롭다고 느낀 게, 동아시아의 경우, 교류가 활발했던 만큼, 문화 예술 면에서도 비슷한 점이 꽤 있었다. 몇 년 전에 일본 오키나와에 놀러갔을 때 구경했던 “사자춤”을 중국 전통 예술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는 점. 그리고 비파와 삼현과 같은 현악기와 목소리만으로 공연을 펼치는 “탄사”라는 장르는 우리나라 민요나 판소리와도 아주 비슷한 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목소리 하나로 사람들을 훔치는 “구기” 같은 경우는 무성영화 시대에 우리나라에서 활발히 활동했던 “변사”들을 떠올리게 했다. 특히 구기의 경우, 공연이 끝나면 청중들은 한 사람이 극을 이끌어왔다는 사실에 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니, 상상만으로도 그 반응이 즐겁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이 가고 또 보고싶었던 공연은 바로 “변검”이라는 공연 예술이었다. 단순히 얼굴을 바꾸는 기예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마음을 드러내는 장치라는 해석이 흥미로웠다. 순간적인 표정 변화가 감정의 변화를 상징하고 그 속에는 숨김과 드러냄의 미학이 있다는 설명과 얼굴을 바꾸는 기법이 – 얼굴 문지르기, 얼굴 불기, 얼굴 당기기 등 – 매우 다양하다는 것도 재미있는 정보였다. 뭔가 전반적으로 중국 기예는 강렬한 감정 변화와 상상력을 자극하는 공연 방식이랄까? 이런 점이 참 독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외에도 자연과 삶 자체가 무대가 되어서 그 땅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대로 예술로 승화시키는 “실경공연” 과 신혼 부부에게 행복을 축원했던 “면소”와 군자의 덕목을 상징하는 “옥기”와 같은 공예 예술도 흥미로웠다.

이 책 <이야기로 보는 중국 기예>를 읽고 나니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있던 중국의 예술적 면모가 조금 보이는 듯 하다. 경극이나 변검과 같은 공연 장르 뿐 아니라 공예 예술 분야도 소개되어 있는 부분이 세심하게 느껴져서 아주 좋았다. 결국 정치나 시대적 상황에 상관없이 예술이라는 것은 삶을 비추는 거울이자 놀이이고 위로라는 점, 따라서 화려한 무대와 정교한 공예를 넘어서서 그 안에 담긴 인간의 역사와 마음을 만나는 경험, 바로 이 책이 독자들에게 선사하는 즐거움이라는 생각이 든다. 중국에 관심있는 모두에게 추천하고싶은 책 <이야기로 보는 중국 기예>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