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당근마켓으로 월 1,500만 원 번다 - 가게 없이, 브랜드 없이 소자본으로 수익 구조 만들기
일평사장(유연승) 지음 / 경향BP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케팅 몰라도 돈 버는

당근마켓 실전 매출의 모든 것

가게 없이, 브랜드 없이 소자본으로

수익 구조 만들기

나의 경우 반려묘가 특정 습식 캔을 먹지 않아 다른 분들께 나눔 하기 위해서 몇 번 이용해 보았던 당근마켓. 그런데 중고 물품만 취급하는 곳인 줄 알았던 이곳에서 온라인 판매를 할 수 있다니, 나는 너무 궁금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우선 이 책의 저자가 당근마켓에 뛰어들게 된 사연을 읽게 되었는데, 뭔가 짠하면서도 굉장히 인간적이라는 느낌을 받은 후 책에 몰입했던 것 같다. 뒷부분부터는 당근마켓에서 판매자로써 이길 수 있는 전략이 실려있는데, 어쨌든 전체적으로 좀 인간적인 냄새가 많이 나는 책이다.

이 책을 쓴 일평사장 유연승씨는 원래 토익을 가르치던 영어 강사였다고 한다. 인기 강사였던 그는 친하던 원어민 강사와 함께 작은 영어 학원을 차리지만 코로나의 영향으로 그만 사업에 실패하고 만다. 살고 있던 오피스텔 전셋집을 빼서 지하 월세방으로 옮기는 등 좌절의 순간은 있었으나 결국 그는 당근마켓에 뛰어들었고 월 순익 1500만 원의 결과를 얻게 되었다. 성공의 비결을 보면, 사업에 실패한 후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철저히 분석한 저자. 계산보다는 장사 수완이나 인간적인 친근함이 강점이었던 저자는 신뢰와 지역성을 바탕으로 내세우는 당근 마켓이 맞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1장 <내 인생을 바꾼 당근마켓 입점>을 제외하면 ( 저자의 사연 등이 실려있기에) 당근마켓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한 노하우로 나머지 장이 구성되어 있다. 찬찬히 읽어보니 당근마켓은 다른 온라인 플랫폼과는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여러 온라인 판매 플랫폼을 오프라인의 상점과 비교하자면 대형 쇼핑몰이나 백화점과 같은 장소에 가깝다면 당근마켓은 동네 시장이나 작은 상점에 가깝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말하자면 "단골 확보" 와 "신뢰"가 보장되면 성공할 수 있는 구조랄까?

따라서 다른 온라인 판매 플랫폼에서 고객이 물품을 구매하는 단계가 "검색-노출-구매 전환"이라고 하면, 즉, 물건을 구매하겠다는 결심을 하고 검색을 하여 가격을 비교 후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로 이어진다고 하면, 당근마켓에서는 "노출-구매 전환"으로 이어진다는 것. 마치 인스타그램을 보다가 광고를 클릭해서 구매하듯 당근마켓에서도 그런 식으로 판매가 이루어진다고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화려한 이미지의 광고보다는 "소식의 글" 통해서 전해지는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는 것. 진정성을 드러내어 상품에 대한 신뢰를 주고 쿠폰 등을 이용하여 단골 확보를 통해 꾸준한 판매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 책 <나는 당근마켓으로 월 1,500만 원 번다>를 읽고 나니 누구든지 판매자로 성공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보다 당근마켓에 입점하는 방법이 그다지 어렵지 않았고 많은 광고비라던가 화려한 스펙이 필요한 것도 아니었다. 그냥 꾸준히 시도하고 고객과의 관계를 잘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저자가 사업에 실패한 후 했듯이, 나의 장점과 단점을 잘 파악하고 내가 어떤 일을 잘 하는지, 어떤 상품을 잘 팔 수 있을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더라도 자신의 온라인 상점을 열어보고 싶다고 생각하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은 책 <나는 당근마켓으로 월 1,500만 원 번다>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