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면의 조개껍데기
김초엽 지음 / 래빗홀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 소설이라고 하면 흔히 아직 오지 않은 미래나 끝없이 펼쳐진 미지의 우주를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이번에 읽은 김초엽 작가의 신작 <양면의 조개껍데기> 출간 기념 무크지는 내게 또 다른 관점을 열어주었다. SF가 단순히 상상의 영역을 확장하는 장르가 아니라 인간 존재를 더 깊이 들여다보게 만드는 창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이 작은 책자 속에는 작가의 프로필, 편집자와의 인터뷰, 동료 작가들이 바라본 김초엽 작가의 작품과 심완선 평론가의 김초엽론까지.. 알찬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 덕분에 신작 <양면의 조개껍데기>에 대한 기대감은 물론, 김초엽이라는 작가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 책에서 우선 눈길을 끈 부분은 편집자와의 인터뷰였다. 여기서 김초엽 작가는 “인간성의 본질이란 사실 없을 수도 있다”라는 다소 흥미로운 통찰을 하고 있다. 말하자면 인간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이기에 본질도 고정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것. 그러나 동시에 우리가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이 가지게 되는 그 “한계”야말로 빛이 되고 희망이 될 수 있다는 말에 깊이 공감했다.

그러나 이 무크지에서 가장 인상 깊은 부분은 단연 심완선 평론가의 김초엽론이다. 그는 김초엽 작가의 여러 작품을 열거하며 세심하게 분석하고 작가의 세계관을 독자들에게 설명해 준다. 단편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에서 기술 문명이 극도로 발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인공 안나는 오히려 가족들과 생이별을 겪는 비극을 맞이한다.

평론가는 이 단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술 발전의 낙관론”에 회의를 가지고 있는 저자의 세계관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소외되고 떠밀리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존재한다는 것. 심완선 평론가의 분석이 나에게 상당히 무척 유익하고 재미있게 다가왔다. 단순한 휴머니즘에 머무르지 않고 기술과 사회의 불평등을 제대로 짚고 있는 김초엽 작가의 작품들을 잘 설명하고 있다.

이 무크지를 읽고 나니 그녀의 신작 소설집 <양면의 조개껍데기>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더 차오른다. 특히 <양면의 조개껍데기> 소설에 등장하는 한 몸을 공유하지만 전혀 다른 개성을 가진 인물 “레몬”과 “라임”의 사랑 이야기가 너무나 궁금하다. 짧은 소개만으로도 이야기의 결이 독특하게 다가온다. 요즘처럼 인간 존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가지길 권유하는 시대에 딱 맞는 작품이 아닐까?라는 느낌.

김초엽 작가는 이미 SF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 작가가 되었다. 인간과 존재를 바라보는 그녀만의 섬세하고 깊이 있는 시선 그리고 독자들을 단번에 이야기로 끌어들이는 서사가 놀랍다는 생각이 든다. 이 무크지는 단순한 출간 기념물을 넘어서서, 앞으로 펼쳐질 활동에 대한 기대를 가득 심어줄 뿐 아니라 김초엽이라는 세계에 풍덩 빠지게 해준다. 작지만 알찬 내용이 있었던 김초엽 소설집 <양면의 조개껍데기> 출간 기념 무크지.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