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하는 심리학 - 복잡한 내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마음의 법칙
장근영 지음 / 빅피시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도 때도 없이 불안하고 우울하다면

남을 배려하면서 정작 나 자신은 소진되고 있다면

당장 해야 할 일이 있는데 자꾸만 미루고 싶다면

요즘은 심리학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많은 듯하다. 일에 치이고 인간관계에 시달리는 사람들, 문득 떠올려보면 마음이 편했던 때가 언제인지 기억나지도 않는다. 장근영 작가의 이 책 <위로하는 심리학>은 불안과 우울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쉴 자리를 내어준다. 인간의 감정을 다루지만 너무 무겁지 않게, 이론은 좀 더 쉽게 풀어내는 심리학 책이다. 따라서 심리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책이다.

해야 할 일은 많은데 일이 도무지 손에 잡히지 않거나 나쁜 일이 생기지도 않았는데 우울할 때가 있다. 이런 감정들을 한 번이라도 경험해 본 사람이라면 이 책이 전하는 메시지에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이 책은 심리학자 25인의 핵심 이론을 끌어와서 일상적인 고민 속에서 쉽게 풀어낸다. 프로이트, 융, 아들러와 빅터 프랭클 등 독자들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전문가들의 이름이지만 이 책에서는 철저히 개념보다는 “독자의 일상”에 초점을 맞춘다.

이 책은 읽기 쉬운 편이지만 가볍지 않다. 저자는 서문을 통해서 “인간은 비합리적인 존재다”라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심리학이 정답을 제시하기보다는 인간의 복잡한 사고와 감정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듯하다. 각 장에는 전문가들의 이론이 제시되고 있고 그와 관련된 사람들의 방어 기제들이 다양한 사례와 함께 소개된다. 나의 경우 특히 심리학자 “융”과 “아들러”의 이론에 끌리는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이들의 이론이 나와있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읽었다.

23쪽 <융의 콤플렉스 : 나는 왜 저 사람이 싫을까?>를 통해서 콤플렉스라는 것이 무조건 부정적인 요소이기보다는 나를 나답게 만드는 특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0쪽 <아들러의 열등감 이론 : 부족하고 나약하기에 오히려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를 통해서는 스스로 부족함을 느낄 때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며, 그 노력이 성장의 밑바탕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릴 때부터 스스로 남과 비교하며 소심하게 웅크렸던 마음이 비로소 펴지는 것을 느꼈다.

이 책 <위로하는 심리학>은 심리학이라는 도구를 통해서 마음의 문제를 단기적으로 “해결” 하려 들지는 않는다. 그렇다기보다는 내 마음의 진짜 모습이 어떤지를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방법을 알려준다. 말하자면 삶에 정답은 없지만 내가 나 자신을 스스로 이해하다 보면 그것이 강력한 무기와 해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 같다. 반복되는 고민이나 우울한 마음에서 탈출하고 싶은 독자들과 심리학을 처음 접하기에 부담 없이 읽고 싶은 독자들에게 추천하는 책 < 위로하는 심리학>

“실패가 항상 실수는 아니다.

그것은 단지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한 결과일 수도 있다.

진짜 실수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이다.”

— p.89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