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뇌 - 저절로 돈을 쌓는 상위 1퍼센트 부자들의 뇌 사용법
모기 겐이치로 지음, 오시연 옮김, 양은우 감수 / 21세기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앞의 1천만 원 vs. 10년 후 10억

당신의 뇌는 무엇에 끌릴까?

돈을 부르는 말버릇과 무의식, 사소한 습관...

뇌가 당신의 돈 버릇을 만든다!

우리는 종종 이런 말을 하곤 한다. "나는 돈 버는 재주가 없어." "돈이 통장을 스치고 지나갔어" 등등. 이런 말은 겉으로 보기에는 사소해 보일지 모르지만 이 말을 하게 만든 그 무의식, 즉 "나는 돈을 잘 다루는 뇌를 가지고 있지 않다"라는 전제를 깔고 있기에 부자가 되는 여정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저자 모기 겐이치로의 저서 [부자의 뇌]는 사람들이 품고 있는 무의식을 이야기한다. 부자의 뇌와 가난한 사람들의 뇌는 엄연히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보다 돈을 더 잘 벌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실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저자인 모기 겐이치로 씨는 도쿄대학교 이학부와 법학부를 졸업한 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소를 거쳤다고 한다. 현재 일본을 대표하는 뇌과학자이며 전문 분야는 뇌과학과 인지과학이라고 한다. 그는 수많은 자수성가형 부자들, CEO, 크리에이터, 투자자들을 연구하며 하나의 공통점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바로 그들 모두 뇌를 '부자처럼' 사용해왔다는 것이었다. 이 책을 통해서 저자는 부자의 뇌와 가난한 뇌가 작동하는 방식의 차이를 보여주면서 자연스럽게 독자들이 부자의 뇌로 갈 수 있는 여러 습관들을 제시한다.

부자의 뇌는 "지금 이 돈이 나에게 어떤 기회를 줄 수 있는가?"라고 묻는 반면, 가난한 사람들의 뇌는 "이걸 사면 과연 기분이 좋아질까?"라고 묻는다고 한다. 당장의 쾌락에 끌리는 뇌, 즉 가난한 뇌는 소비로 스트레스를 풀고 부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노리는 부자의 뇌는 투자를 통해서 장기적인 만족을 얻을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이 책 속에는 이러한 서로 대조되는 뇌의 작동 메커니즘이 매우 흥미진진하게 설명되어 있다. 우리는 왜 월급이 들어오면 배달 앱을 먼저 켜게 되는지, 왜 비싼 물건을 살 때는 판단력이 흐려지는지... 이 모든 행동의 배경엔 "뇌의 보상 시스템"이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부자의 뇌"는 어떻게 특별한가? 저자의 의견에 따르면 부자들은 돈을 인생의 목적으로만 여기는 게 아니라 선택지를 넓히는 도구로 인식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은 뇌에서 이루어지는 감정 처리 방식과 맞물려서 더 강화된다고 한다. 부자들은 불안을 견디고 기회를 감지하며 사람과 정보를 자산으로 여기는 편이고, 그런 감정의 근육이 연달아 부를 부르는 뇌 회로로 연결되며 더 강화된다는 것을 말하는 저자. 기쁨과 불안, 충동과 후회 등등 이 모든 것들이 사실 뇌가 만들어낸 패턴이라면 "돈을 다루는 법"은 결국 "감정을 다루는 법"일지도 모른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이라도 부자의 뇌를 갖출 수 있는 방법은? 이 책에서 소개하는 몇몇 방법은 일단 "정보에 민감한 뇌 만들기" "기회 포착형 사고로 전환하기" "기분을 소비로 푸는 습관을 멈추기" 등이 있었다. 말하자면 단기적인 욕망 추구를 위해서 돈을 쓰기보다는 장기적인 목적을 위해서 돈을 쓰라는 말이고 스스로의 감정을 소비로 풀지 말라는 것이라고 나는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한 얄팍한 지식이나 기술이 아니라 뇌 속 무의식이라는 근본적인 패턴의 변화이다. 그리고 뇌는 훈련으로 충분히 바꿀 수 있다고 말하는 저자. "저절로 돈을 쌓는 상위 1퍼센트 부자들의 뇌 사용법" 이라는 표현이 말해주듯이 부자가 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책 [부자의 뇌]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