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남자가 무대위에 앉아있다. 그를 비추는 스폿라이트가 켜지고, 그는 독백 ( 가끔은 관객과의 대화 ) 을 시작한다. 이제는 빛바랜 이야기지만 잔잔하게 시작되는 그의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 열정적인 연애 이야기.  중간 중간 위트넘치는 농담을 던지며 연애이야기를 꺼내지만  분노에 사로잡혀 절망을 토로하기도 하는 1인극.


그는 관객들에게 이야기한다.

 

사랑을 더 하고 더 괴로워하겠는가, 아니면 사랑을 덜 하고 덜 괴로워하겠는가? 그게 단 하나의 진짜 질문이다, 라고 나는, 결국 생각한다

사랑의 본질은 도대체 뭘까다소 진부한 질문을 자꾸 되묻게 만드는 이 소설. 연애의 기억. 연애의 기억이라기 보다는, 연애의 결과로 인한 고통의 기억? 이 더 적절한 제목일 듯한 이 소설은, [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 로 맨부커상을 수상한 줄리언 반스 작가의 다소 무거운 연애 소설이다.


이 글은 대부분 주인공의 1인칭 시점 나레이션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난 소설을 읽는 동안 내내 노쇠해진 한 신사가 1인 연극 에서 한때는 열정적이었으나 끝내 퇴색되어버린 자신의 젊은 날의 사랑 이야기를 고백하는 것 처럼 느꼈다.


연극 무대에서 그는 이렇게 읖조린다.

" 저는 그때 어렸습니다. 젊었죠... 그녀는 제가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냥 빠져들었어요 "


소설 속의 주인공 19세 대학생 폴 은 방학을 맞아 집으로 잠시 쉬러 온 틈을 타서 테니스 클럽에 가입한다. 거기서 그는 피할 수 없는 운명을 만난다. 48세의 원숙한 아름다움을 가진 수전.


" 그녀는 다른 어른들과 달랐습니다. 뭔가... 자유롭고 사회와 인간을 풍자할 줄 알았죠. 저의 냉소적인 유머에 곧잘 웃어주었으니 "


관습에 물들어버린, 클리셰를 대표하는 듯 지루한 어른들과 달리 자유분방하고 유머감각이 넘치는 수전. 폴은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 아니면 클리셰가 아닌 사랑 - 또래와의 유치한 사랑이 아닌 - 과 사랑에 빠졌을 지도 모르고.


그런데 이 소설이 그냥 주인공의 젊은 날, 불같았지만 빨리 끝나버린 진부한 사랑 이야기였다면 이렇게 나의 마음이 무겁진 않을텐데..... , 연극 무대의 주인공이 이렇게 말했다면, " 사실 그녀를 사랑했지만, 우리 둘 다 빨리 이성을 되찾고 각자의 자리로 돌아갔죠. 하하하 "


하지만 그게 아니었다,,,, 그들은 순수했고 사랑이 영원할 거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그런데 그런 사랑의 색깔이 바래지고 믿음이라는 장막이 걷히면서 특별하다고 생각했던 사랑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사실 폴은 불행한 결혼 생활 에 빠져 허우적대는 수전을 자신이 구해줬다고 느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그들은 서로에게 익숙해지고 그 관계는 또다른 진부한 관계로 변해버린다. 책 속에 나오는 문구처럼. 폴이 그렇게도 싫어했던 부모님의 결혼 관계처럼.

 

우리 부모의 결혼은 나의 열아홉 살의 용서없는 눈으로 보기에는, 클리셰가 자동차 사고처럼 난무하는 현장이었다. 클리셰를 심판한 사람으로서, "클리셰가 자동차 사고처럼 난무한다 " 라는 말 자체가 클리셰라는 것은 인정해야겠지만

 

결국  자신을 조금씩 파괴하는 수전을 보다 못한 폴은 그녀를 다시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는데...…..

 

위에서도 말했듯, 이 소설은 연극무대의 주인공이 읖조리듯 늘어놓는 독백같은 소설이다. 1인칭 시점으로 서술되기 때문에 사실 폴 이외의 다른 사람들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작가의 영국인다운 절제하듯 써내려간 문장의  사이 사이로, 순수한 첫사랑에 대한 기쁨, 서로에 대한 굳건한 믿음 그러나 결국 마주치게 된 분노와 갈등... 마침내는 망가져버린 관계에 대한 절망이 언뜻 언뜻 엿보인다.

 

자기 중심적이었던 젊은 날의 폴은, 나이가 들어서야 자신의 사랑만이 특별한 건 아니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클리셰라고 믿었던 자신의 부모님도 사랑하던 시절이 있었고, 수전을 괴롭히기만 한다고 생각했던 남편 고든도 한때는 그녀를 열정적으로 사랑했을 거라는 걸 깨닫는다..  

 

쉽게 읽히지 않는 소설이었다. 자꾸만 되새김질 하게 되는 문장도 많았던 것 같다. 이해가 잘 안되서. 그러나 맨부커상을 수상한 작가의 작품답게 사랑이라는, 쉽게 규정지을 수도 없고 한계를 지을 수도 없는 감정을,  성찰하는 듯한 그의 독특한 방식으로  잘 표현했다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이 책은 마냥 사랑하는 연애 소설이라기 보다는 연애를 추억하며 주인공이 느낀 인생에 대한 통찰을 그려낸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소 어려운 감이 있으나 사색을 좋아하는 독자에게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