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르네상스 창녀 1
사라 더넌트 지음, 강주헌 옮김 / 갤리온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세계를 놀라게한 여인들, 정치의 중심에서 나라를 흔들었던 여인들, 역사를 뒤바꾼 여인들에 관한 책은 무수히 많다. 나또한 그런책들을 재미있게 읽었다. 또한 여자가 주인공인 소설들이 쏟아져나오고있다.  드라마 "주몽"에서도 주몽뿐 아니라 여장부 소서노가 핵심인물로 나온다. 고구려를 세운 일등공신으로 소서노의 역할을 재조명한다. 왜 여인들의 이야기가 이토록 사람들을 끌리게 하는걸까? 연약하고 약자의 모습을 보여온 여인상들이 무너지면서 강한 여성상을 가지거나 자신의 삶에 최선을 대해 노력하는 여자들의 모습이 우리를 끌어당기고 있는 것은 아닐까? 르네상스 창녀의 주인공 피암메타 역시 그렇다.

피암메타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위대한 여인은 아니다. 제목에서 알수 있듯이 그녀는 창녀에 불구하다. 전쟁의 소용돌이에서 다시 한번 더 부와 권력을 잡고자 하는 그녀는 충실한 하인 부치노와 함께 전쟁이 일어난 로마를 떠나 베네치아에 정착한다. 그리고 그녀는 그곳에서 재도약을 위해 준비한다. 피암메타는 강하면서도 약한 여자의 모습을 동시에 보여준다. 그리고 뛰어난 재치와 현명함으로 무장되어있다. 물론 그녀의 곁에서는 그녀의 팔 다리가 되어주고 모든일들을 잘 처리하는 만능기능사인 난쟁이 부치노가 있다. 둘은 사랑과 우정으로 베네치아에서 함께한다.

빠른 전개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는 이책의 너무 빠른 전개가 좀 아쉬웠다. 전쟁으로 피난 가는 장면도 너무 잠시비추어지고 인물들에 대한 묘사나 설명도 너무 적은 편이였던것 같다. 그리고 르네상스 창녀라는 이름때문에 그 시대의 로마나 베네치아의 모습이나 생생함을 기대했는데 오히려 역사적인 면보다 피암메타나 부치노에게 초첨이 맞추어졌던것 같다.

 제목을 보고 처음 몇장을 읽었을때는 피암메타가 주인공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1권을 다 읽고나서는 이책의 주인공이 부치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가 피암메타와 어떠한 삶을 사는지 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그의 사랑과 삶의 모습이 오히려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것 같다.

 여담이 있다면 들고 다니면서 책을 읽는 나에게 참 부담스러운 제목이였다. 안읽어본 사람들이 오해하기 참 좋은 제목이였다.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율리시스 무어 1 - 시간의 문 율리시스 무어 1
율리시스 무어.피에르도메니코 바칼라리오 지음, 이현경 옮김 / 웅진주니어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책 표지에 크게 장식하고 있는 글자는 작가의 이름이다. 아니 이 글의 주요메시지이다. 그의 흔적으로부터 이야기는 시작되고 그가 살던 빌라 아르고가 이야기의 중요한 배경이 된다.

율리시스 무어의 이야기는 출판사의 글로부터 시작된다. 실제 이야기인지 작가š?독특한 상상력이 바탕이 된 이야기인지 의문을 가지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 난 가끔 이런 이야기가 진실이기를 바란다.-

빌리 아르고에 한 가족이 이사온다. 겉으로만 봐도 무언가가 강하게 느껴지는 그런 빌라였다. 도시에서 이사온 쌍둥이 남개 줄리아, 제이슨은 호기심이 왕성하다. 쌍둥이 남매는 그들의 친구 릭과 함께 빌라 아르고를 탐험(?)하면서 율리시스 무어의 수수께끼를 풀어나간다. 빌라의 정원사 네스터는 그들에게 모험심과 호기심을 더욱 불어놓어주고 오블리아 뉴턴과 만프레드는 빌라를 차지할려고 한다.

1권에서는 이야기의 시작부분이라서 그런지 세명의 우리의 주인공의 매력이 덜 뿜어져 나오는 것 같다. 주인공들이 좀 더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었다면 훨신 좋았을텐데.. 그리고 배를 찾기 위한 여정이 너무 길었던거 같다.

2권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모험이 시작된다. 이집트를 향한 본격적인 모험이 시작된다. 줄리아는 빌라 아르고에서 네스터에게 비밀의 일부를 듣고 제이슨과 릭은 이집에서 비밀을 향해 다가간다. 1권에 비해 훨씬 흥미로웠다. 인물들의 개성도 자리를 잡은 것 같고 무엇보다 악당들의 이야기가 나와 이야기 구도를 만든다. 어린이용 판타지물에서 진부할지 몰라도 악당이 꼭 나와야 그 맛이 더 해진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작가의 신비로움이 그대로 묻어나는 이 책은 어린이용 판타지라고는 하지만 굳이 그런 타이틀에 묶여있지 않아도 된다. 어린이라면 꿈과 환상을 느끼고 만들 수 있으며 어른이라면 어릴 적 키워왔던 꿈을 다시 한번 느껴 볼 수 있다. 

이 책을 읽는다면 내용뿐 아니라 디자인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하고 넘어가야 될 것이다. 커버 속 책 겉표지는 너무 이뻤다. 율리시스 무어의 공책을 디자인의 모티브로 삼은 것 같았다. 거기다 속지의 감촉과 책 속 삽화 역시 훌륭했다.

앞으로의 율리시스 무어의 비밀과 세명의 주인공들의 모험이야기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