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탐史 - 현대 역사학의 거장 9인의 고백과 대화
마리아 루시아 G. 팔라레스-버크 지음, 곽차섭 옮김 / 푸른역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서양 꽃 문화를 비교한 인류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잭 구디, 빅토리아기 물건의 사회사를 연구한 에이사 브릭스, 16세기 프랑스사를 공부한 여성학자 나탈리 제이먼 데이비스, 근대 자연관에 대한 심오한 고찰로 17세기 영국 문화사회사를 파헤친  케이스 토마스, 프랑스 혁명기의 패션으로 문화 전반을 다루는 다니엘 로슈, 저자의 남편이자 르네상스기의 유럽을 공부하는 피터 버크, 미국의 역사학자로 계몽주의의 유동과 소비를 연구하는 로버트 단턴, 근대초 유럽 민중문화사를 다룬 이탈리아의 카를로 긴즈부르그, 정치사상사를 새롭게 탐구하는 케틴 스키너 총 9명의 역사학자와의 인터뷰를 실어놓은 책이다.  

 인터뷰(대담)란 단어는 비공식적인 관례를 빌려 비교적 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결과물을 산출해내는 유동적 장르이다. 우리는 저명한 역사학자의 저술에서는 미처 알아차리지 못했던 그들의 역사관을 생생한 대화체로 즐길 수 있다. 인터뷰란 장르를 통해 딱딱한 목차나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말이다. 9명의 역사학자는 모두 기존의 딱딱한 랑케식 역사관을 넘어서 새로운 역사학을 구축한 인물들이다. 대부분의 이들에게는 생소할지 모르나 역사를 전공한 사람들이라면 인류학이나 역사 개론서에서 한 두 번씩 이름으로나마 접해봤을 것이다. <치즈와 구더기>라는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과 비슷한 추리 역사소설을 쓴 카를로 긴즈부르크와 <지방의 계몽주의>를 비롯하여 원서로도 접해봤던 다니엘 로슈, <책과 혁명>과 같은 친근하면서도 뛰어난 저서로 유명한 로버트 단턴 등을 50-60쪽의 지면을 통해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건 멋진 기획이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모두 서구 중심 사관과 근대 역사학을 부정한다. 또한 9명 모두 공통적으로 역사의 통찰력을 현재 문제 해결의 대안이자 앞으로 역사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니엘 로슈는 역사를 공부하는 이들에게 다음과 같이 쾌활하게 충고한다. 다양한 서적들을 닥치는 대로  읽어라! 다양성을 존중하고 비교하고 통찰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골고루 알고 느끼고 깨달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아무리 시궁창 같은 속세에 몸을 담고 있어도 반듯하고 올곧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다. 여기에 실린 9명의 역사학자들은 학문의 세계에서 뿐 아니라 인생에서도 배울 바가 많다. 학회에서 딱딱한 발표와 토론 자리에서는 볼 수 없는 농담과 고뇌가 뒷풀이게 가면 느낄 수 있다. 이 책은 학회와 뒷풀이 모두가 함께 있는 책이다. 거장들이 추천해준 역사서를 곱씹어 읽고 다시 이 책을 본다면 내 통찰력도 성장해 나갈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정원 답사 수첩
역사경관연구회 지음 / 동녘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답사 다니면서 들고다니기 편한 포켓 싸이즈입니다. 사진도 설명글도 제가 찾던 책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