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국유의 번역: "무릇 인생에서 우리를 슬프게 한 것이 예술에선 즐겨 감상할만한 것이 된다."

 

 

 

 

 

 

 

 

 

 

 

 

 

 

 

 

1.

어떤 분이 뷔르거의 이 시를 왕국유가 번역한 것을 놓고 원문보다 더 훌륭한 번역이라 하였어요.

왕국유는 뷔르거의 시를 뜻을 다치지 않고 시경에서 쓰는 문장형식을 빌어서 다시 쓴 것입니다.

이 또한 번역이지만 , 형식미를 본다면 새로운 작품이기도 하지요.

 

Gottfried August Bürger는 18세기 독일 발라드 시의 창시자로 알려졌지요. 뱀파이어를 등장시킨 시를 썼답니다.

 

"Ye wise men, highly, deeply learned,
Who think it out and know,
How, when, and where do all things pair?
Why do they kiss and love?
Ye men of lofty wisdom, say
What happened to me then;
Search out and tell me where, how, when,
And why it happened thus."


 - BURGER

 

嗟汝哲人,靡所不知,靡所不学,既深且跻。粲粲生物,罔不匹俦。各啮厥齿,而相厥攸。匪汝哲人,孰知其故。自何时始,来自何处?
  嗟汝哲人,渊渊其知。相彼百昌,奚而熙熙?愿言哲人,诏余其故。自何时始,来自何处?  (译文)/왕국유 번역

                                                          ————王國維先生《紅樓夢評論》

 

높고 심오한 지식을 지닌 철인들이여,

궁리해서 알려주세요.

만물들은 어떻게, 언제, 어디에서 짝을 짓는 걸까요?

왜 그들은 입맞추고 사랑할까요?

고귀한 지혜를 지닌 현자들이여,

말해주세요.

그때 무슨 일이 내게 일어났는가요?

어디에서, 어떻게, 왜 일이 그렇게 일어났는지를

알아내서 알려주세요.(tr by me)

 

----------------------------------------------

 

http://yanruojiangcheng.blog.hexun.com.tw/3362308_d.html

왕국유의 <<홍루몽평론 >>

 

Gottfried August Bürger의 시를 왕국유는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영문본에서 가져왔다. 실제 이 시가 원문에 있었는지 편집자나 번역자가 덧댓는지는 불명확...독어본을 봐야 암. 다른 영역본에는 없다.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Supplements to the Third Book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by Arthur Schopenhauer, translated by R B Haldane and J. Kemp  출처: 위키피디아 아랫부분 링크

--------------------------

 

2. 우아미와 숭고미

 

"무릇 인생에서 우리를 슬프게 한 것이 예술에선 즐겨 감상할만한 것이 된다."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인용된 괴테의 비유적 시를

왕국유가 <<홍루몽평전>>에서 재인용한 것입니다. 왕국유는 이를 '우아미'와 대비하여 '숭고미'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했지요. "말하자면 숭고미란 사물과 나의 관계를 잊고 즐거워하는 것으로, 이는 우아미에는 없는 것이다. 바로 이점이 이 두 미를 구별짓는 것이다. "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우아미는 사물과 나의 관계에서 긴장이 없습니다. 주객관이 저절로 일치하는것이죠. 저절로 아름답다고 여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당연히 아름다운 것이죠. 객관의 미는 우아미입니다. 아무런 되새김질 없이 누구나 인정하는 미. 물론 우아미에서도  숭고함을 느낄 수 있지만 그것은 미미한 정도고 낮은 차원의 숭고미입니다. 그러나 숭고미는 어떤 대상이 객관적으로가 아니라 자신의 주관적 수용을 거쳐 다시 아름다움으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객관과 주관의 거리가 멀수록 숭고미는 커지죠. 우아미에는 추의 미가 없지만 숭고미에는 '추의 미'가 있는 거지요!! 슬픔의 미, 슬픔의 즐거움도 그렇고요.

이것을 왕국유는 '경계'로 설명했어요. 한마디로 경계내의 미는 '우아미優美'이고, 경계를 넘나드는, 한 경계에서 다른 경계로 이륙하는 미는 '숭고미 壯美' 이지요! 인용문처럼 대상에 대한 자신의 슬픔을 잊고 기쁨으로의 경지까지 드높여지는 미", 단순한 초월이 아니라 내적 수용을 통해 승화시킨 미, 압도적 상태에서 대상에 대한 슬픔-관계-를 망각한 미...이런 게 숭고미라 본 거지요.

 

" 千復格代之詩曰:

    What in life doth only grieve us.
    That in art we gladly see.

 

凡人生中足以使人悲者,於美術中則吾人樂而觀之。此之謂也。此即所謂壯美之情,

而其快樂存於使人忘物我之關系,則固與優美無以異也

 

영문번역판:  "What in life doth only grieve us, That in art we gladly see."

 

원문:: "Was im Leben uns verdrießt, Man im Bilde gern genießt."---괴테/원문

원출처 : Parabolisch. [411] Was im Leben uns verdrießt,. Man im Bilde gern genießt[411]  

http://en.wikisource.org/wiki/The_World_as_Will_and_Representation/Supplements_

to_the_Third_Book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독일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