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O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에게 묻는다. "너는 다시 태어나면 어느 나라에서 태어나고 싶어?"
나는 대답한다. "나는 다시 태어나도 한국에서 태어나고 싶어."
또다시 묻는다. "왜? 너는 이 나라에 불만이 많았잖아."
나는 대답한다. "어디서든 다시 태어나도 상관없을 것 같아. 그런데 기왕이면, 익숙한 곳에서 태어나는 게 좋지 않을까? 물론 새 몸이라서 전에 것은 기억 못할지라도 말이야."
당신은 다시 태어난다면 어디에서 태어나고 싶은가? 너무 고민하지 마시라. 이 책을 읽고나면 '쳇, 나라 따위' 라고 생각하게 될지도 모른다.
스기하라는 재일 한국인이다. 재일 한국인, 일본에서는 차별의 대상이며 발버둥쳐도 누구 하나 알아주지 않는 그런 족속. 그런 곳에서 자란 스기하라.
아버지는 갑자기 국적을 조선에서 한국으로 바꾸고 스기하라에게 물음을 던진다. 너는 어찌 할테냐. 스기하라는 그것 따위 아무런 필요도 없지만 여하튼 홀린 듯 국적을 바꾼다. 하지만 국적은 국적일 분 그의 성이 바뀌지 않는 한 아무 것도 변하지 않는다. 그렇게 국적을 바꾸고 일본인 고등학교로 진학한 그, 한 발짝 앞으로 세상에 발을 내밀었지만 누구하나 맞아주지 않는다. 그리고 그의 앞에 정체불명의 한 여인이 등장한다. 남자는 너무나 외국인 같고, 여자는 너무나 일본인 같다. 그렇게 남자와 여자는 만났다.
여전히 세상은 차갑고, 스기하라는 싸우고 있지만 바뀌는 것은 없다. 그래서 스기하라는 더욱 힘을 내서 싸운다.
스기하라는 점점 더 세상으로 걸어들어 간다. 누구도 말하지 않지만 우리는 알고 있다. 우리는 스기하라가 아니다. 스기하라와 반대편에 있는 규정짓기 좋아하는 사람들이다.
그런 우리들에게 스기하라는 외친다
"GO!"
앞으로 나가라고.
그의 말대로 우리는 좀 더 앞으로 나가야 한다. 내뻗은 손의 반경 안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그 작은 원의 바깥으로 점점 나서야 한다. 그래야만 말 그대로 스기하라와 같은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의 건너편에서는 종교가 달라서 민족을 죽이고, 사상이 달라서 몸이 말라간다. 과연 작가가 말하고 싶었던 차별은 단순한 국적에 대한 차별일까. 아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이 사는 세상에 널려진 온갖 편견들에 대한 질타다.
세상은 점점 진화할 것이고, 그 앞에는 누구도 먼저 나서지 않는다. 다 함께 앞으로 한 발자국씩 나갈 것이다. 그래서 누구도 눈 밖에 나지않고 같은 자리에서 같이 서 있을 것이다.
어떤 노래가 생각난다. 88올림픽에서 사람들이 주구장창 불러재꼈던 노래, '손에 손잡고' 손에 손을 잡고 벽을 넘어가자던 그 노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