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 -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유행한지가 언제인데 뜬금없이 이제서야 읽는 이유는 무엇인가 궁금한 사람도 있겠지만...

(없나?^^;;)

원래 소설을 편애하는 나로서는 사회과학 서적이 쉽게 읽히지 않는다.

이런 글 읽기 보다는 작가가 만들어낸 이야기 세계에 무의식 적으로 폭 빠져서 읽는 것을더 좋아하는 까닭이다. 음..그래그래..말이 되는 것도 같고 말이 안 되는 것도 같다.

어쨌든 만만하지 않은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가 전국적인 열풍을 일으키면서 베스트 셀러자리를 한동안 굳건히 지켰을 때 나는 참 신기했다. 한국 사람들이 이렇게 대중적이지 않아보이는 책들도 많이 읽는 구나. 그렇구나. 신기하다 이 국민들..

그리고 나서 제1판 1쇄가 1995년에 나온 이 책을

10년이 지난 이 마당에 다시 읽게 되었다.

 이 책의 제목은 '로마인 이야기1'이지만 부제는 '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이다.로마의 탄생부터 로마 공화정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탄생설화로만 알고 있었던 로마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고, 작가의 논리적인 해석과 로마사람들의 역사를 읽는게 흥미로웠다. 

로마사람들은 명예에 살고 명예에 죽었다는 둥, 남을 침략해도 대부분 그 나라를 로마로 흡수 시켰다는 것 등..어디서 들어본 듯 한 얘기이지만 잘 알지 못했던 얘기들의 배경과 실제 이야기 등을 볼 수 있고 작가의 독창적인 해석도 돋보이는 재미있는 책이다. 무엇보다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에 대한 애정어린 통찰력과 필력이 매력적이다. 왜 너도나도 사서 읽었는지 좀 알 것도 같은 책.

 "한 사람의 군주가 통치하는 체제라는 이유만으로 왕정 시대의 로마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역사를 정확하게 파악했다고 할 수 없다. 공동체도 초기에는 중앙집구너적인 편이 효율적이다. 조직이 아직 여린 시기에 활력을 낭비하는 것은 치명상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시기에는 한 사람의 강력한 지도자가 결정하고 앞장서서 실행하는 편이 효율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