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과 웃음의 나라 - 문화인류학자의 북한 이야기
정병호 지음 / 창비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면 북한 사람들에 대해서 가장 모르는 사람들은 바로 우리, 남한 사람들일 것이다. 문화인류학자로 누구보다 가까이 북한 사람들을 만나고 북한사람들을 관찰한 저자가 쓴 북한에 대한 탐구 보고서. 이 책은 북한이라는 세계가 어떻게 굴러가는지 여러 각도로 분석하고 탐구하며 북한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 책의 미덕은 '틈새의 해학'을 보여주는 즉흥성과 유머를 겸비한 인간 존재로서의 북한 사람들은 인정하되, 체제는 미화하지 않는다는 거다. "세상에 부럼없어라","우리는 행복해요"라는 구호로 포장된 '자기중심적 믿음체계를 제도적으로 재생산하는' 연출된 극장국가 북한의 모습과 대조적인 접경지대에서 묘사되는 북한 사람들이 당하는 인권유린은 읽기만해도 마음이 쓰리고 울컥할 정도로 참혹하다.  

넓고, 깊고, 조용한 굶주림의 시대 였다는 북한의 대기근에 어떻게든 그들을 도우려고 동분서주 했지만 정치적 상황에 막혀 무력해하던 저자의 안타까운 마음도 느껴진다. 그리고 남한 역시 민주화 전에 북한과 동일한 독재 수순을 밟아왔다는 사실, 비슷하게 돌아간 모습이 있다는 저자의 관찰도 놀라웠다. 무엇보다 다른 길을 걸어온 사람을 만날 때 나의 편협한 관점이 아니라 상대방이 살아온 길을 이해하는 존중과 공감의 감수성이 필요하다는 말은 내 삶에도 깊게 새길 말인 것 같다. 

예전 회사에서 일할 때 김일성 대학교를 졸업하고 북한주민의 식량난을 해소하겠다고 옥수수 종자를 연구하던 북한 과학자를 만난 적이 있다. 떨리는 마음으로 무턱대고 "축하드려요 박사님!"이라고 외쳤는데 어색해하면서도 수줍게 웃으시던 그분 생각이 났다. 바로 옆에 굳은 얼굴로 김일성 뺏지를 달고 서있던 분의 서늘함에 나도 모르게 인사만 하고 뺑소니를 쳤던 기억이 있다. 다시 만난다면 "좋은 연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라고 한 마디 꼭 전해드리고 싶다. 

"(핵)전쟁을 불사하겠다거나, 배때기를 갈라버리겠다는 말은 위협이기도 하지만, 비명이기도 하다. 우리를 인정해달라, 그리고 이해해달라는 절박한 사람들의 말법이고 몸짓이다.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또 그 죽음의 춤을 멈추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 주어야 할 것이다." 


https://www.instagram.com/abookcloset/

"(핵)전쟁을 불사하겠다거나, 배때기를 갈라버리겠다는 말은 위협이기도 하지만, 비명이기도 하다. 우리를 인정해달라, 그리고 이해해달라는 절박한 사람들의 말법이고 몸짓이다.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또 그 죽음의 춤을 멈추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 주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