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를 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서-라고 붙였지만 아렌트는 후기에서 이것은 예루살렘 재판 과정에서의 정의 실현에 대한 보고서라고 딱 선을 그어 두었다.
무죄 추정의 원칙 이딴거 싹 무시하고 이미 유죄이고 사형 확정 하에 심지어 국외에서 납치되어 온 피의자의 상황, 변호인이라고 딱 한놈 붙어 있고 변론 위한 정보 접근도 제한된 상황에 피고 측 증인 신청도 거의 거부된 점, 이스라엘 법정에서 이 재판을 하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 아이히만의 죄는 인류에 대한 것인가 특정 민족에 대한 것인가 등등 재판 진행 및 장소에 대해 규정하기 이전 고민했어야 할 부분들, 아이히만이 관여하지 않은 부분이나 재판과 상관 없는 유대인 들의 증언이나 위증에 대한 지적 등
뭐 이런 것들을 다 고려해도 아이히만이 특정 민족을 그저 특정 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 대량으로 죽게 만든 것에 대한 책임을 지울 수 없지만, 정의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제기할 수 있는 이런 문제들을 제기를 했다는 소문만으로도 책 내기도 전에 가루가 되게 까이고 비난 받으면서도 통찰과 분석력으로 자신이 재판 과정과 관련 문서들을 통해 발견하고 생각한 것들을 보고서에 담은 아렌트는 용기도 있고 지성도 탁월하구만 싶었다.
독일 놈들이 유대 민족을 대량 학살한 사례는 사람이 타고난 악인인 것도 아니고 악해지지 말아야지, 착하게 살자, 이런다고 되는게 아니라 내가 뭔 짓 거리를 하고 있는건지, 상황이 어떠한지, 나의 행동으로 인해 어떤 결과를 가져오고 누가 고통받게 되는지, 끊임 없이 생각하고 돌아보지 않으면 나도 모르게 최악의 결과들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무사고, 공감 능력 없음, 권위와 명령에 대한 무비판적 복종, 출세 지향, 이런 것들이 타인과 타 공동체에게 어떤 고통을 주는지는 이 사례의 교훈 뿐 아니라 최근의 우리나라 정치 상황에서도 뭐 계속 반복해서 볼 수 있지만...당장 일본이 전쟁 당시 우리에게 저지른 수많은 잘못들에 대응하는 방식도 아이히만의 마인드랑 크게 다른 것은 없어 보인다. (나 아니라 누구라도 내 자리에 있었으면 그랬을 걸. 내가 한 건 맞는데 그냥 시켜서 한 거고. 그 당시에는 잘못도 아니었고. 내가 한 건 나름 당시 상황의 최선이었고. 아 쓰고 보니 빡치는구만)
번역이 매끄럽지 못하고 중간 중간 아예 문장 자체가 무너져 버리는 경우도 있어서 읽다가 하 ㅅㅂ번역 ㅈ 같은거...이러고 욕할 뻔하다가 아니 그래도 독일어 1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친히 번역해 주심에 감사하자..하고 꾸역꾸역 6개월만에 겨우 읽었다. 좀 제대로된 번역판이 나오면 죽기 전에 눈 딱 감고 한 번 더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