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의 의자 -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정도언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의 마음속엔 진보와 보수의
두 마음이 부딪히며 공존한다.
프로이트의 말처럼 마음이란
극히 작은 일부만 노출된 빙산과도 같아서,
나조차도 깊숙히 파묻힌 내 감정을
파악하지 못하고 병든 채 버려두게 된다.
바람처럼 잡히지 않는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
우리는 정신분석을 필요로 한다.
무한도전에서 시민들이 유재석처럼 살바엔
박명수처럼 살겠다던 걸 본 적이 있다.
자신을 억압하지 않고 사는 게
여러모로 정신건강에 좋다는 거겠지.
눈치나 센스도 필요하지만
어느 정도는 박명수같이 분출하고 살아야 한다.
이제 한국사회는 착한아이 증후군, 완벽주의, 열등감으로 스스로를 책망하는 시스템이 되어있다.
그래서 이런 문제들을 위해 프로이트는
자아의 발견 및 성장을 강조한다.
권투로 예를 들어보자.
몸에 힘을 주고 주먹을 날리면 동작이 굳는다. 이것이 본성이다.
반대로 몸에 힘을 너무 빼면 펀치력이 죽는다. 이것은 이성이다.
적당히 힘을 빼고 요령껏 치고 빠지는 것.
이것이 타협성, 즉 자아이다.
이런 완성형에 가까워질수록
인지못했던 가시방석에서 벗어나게 되고,
뭔지조차 모를 속박에 저항하는 힘을 갖추게 된다.
사실 상처나 고난이 마냥 안좋다고만 할 수는 없다.
그런 것들이 성장의 계기가 되고 영양분이 되는 건
명백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불안감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우울한 것이다.
그 감정골이 깊어지면 연필하나 잃고도
휴대폰 잃은 것처럼 당황하고 쉽게 흔들린다.
적당선을 넘어간 걱정에 너무 기대면 스스로를 낭떠러지로 몰아가 끝내 자살도 하니까.
바이킹을 못 타는 나 같은 개개인의 공포도 결국
본인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할거라는 불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No pain No gain 이라는 서양 속담처럼
이런 불안과 걱정, 공황, 공포가 있음으로서
한 층 성숙할 기회를 가진다고 저자는 말한다.
사실 말이 쉽지, 나도 극심한 불안으로
결국 심장신경증까지 발병했었다.
여튼 결론은, 사람은 입조심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평소 배려없는 언행의 사람이
갑자기 교양있게 바뀌긴 힘들거든.
그래서 우리 모두 책을 가까이 하고 삽시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