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를 키운 채식주의자
이동호 지음 / 창비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내에 채식 열풍이 분지가 꽤 되었다. 언제부턴가 유명인들이 온/오프라인에서 ‘비건‘을 외쳤고, 그들은 생명과 환경보호의 선구자로 주목을 받았다. 한편 나 같은 고기 러버들은 저밖에 모르는 이기주의자가 되었고, 그런 불편한 프레임에 대한 반항으로 더욱 열심히 고기를 씹고 뜯었으며 채식 권장을 외면해왔다. 사실 육식 자체가 잘못이 아니라 고기를 사 먹기 전까지의 과정이 문제이며 그 과정을 바꾸고 개선하려면 소비자들이 이렇게라도 나서야만 한다는 것인데, 이 채식 권장이 초반에 마케팅을 워낙 이상하게 해놔가지고 지금까지도 육식과 채식 간에 냉랭한 기운이 흐르고 있다. 아무튼 사회적 시선에 따라 환경 파괴범이 된 나님이 이 책을 고른 건 세계 환경보호에 갑자기 관심이 생겼다기보다 순전히 제목에 끌려서이다. 이래서 마케팅이 중요하다.


도시생활을 접고 귀촌 한 저자의 축산 에세이집이라 할까. 육식파였다가 채식파로 개종한 저자는 가축을 직접 키워봄으로써 축산업이 낳는 여러 가지 이슈들을 마주해 독자에게 전한다. 관심을 안 두면 전혀 몰랐을 내용들을 알려주어 유익하긴 하나 챕터마다 분량이 적어서 빈약하다는 게 흠이다. 물론 이런 문제에 관심조차 없는 이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겠지만, 축산에 뛰어든 저자의 굳은 자세에 비하면 여러모로 가벼워서 아쉬웠다. 아무래도 귀촌 생활 일지처럼 썼다 보니 이래도 되는걸까,하는 노파심의 글이 많았다. 후반부에서는 꽤 진지한 이야기도 하던데, 이게 에세이인지 칼럼인지 기사인지 성격이 모호하다. 편집자가 전혀 개입을 안 한 건가.


저자는 돼지를 키웠지만 책에서는 다른 가축들에 대해서도 다룬다. 여러 종의 가축이 왜 어우러져야 하는지도 알게 해주었다. 한 가지 종만 많아지면 생기는 자연 파괴와 질병들이 고스란히 인간에게 피해를 입힌다. 그런 문제를 차단하고 예방하기 위해 약도 뿌리고 위생관리를 하지만, 가축 A의 문제를 가축 B가, 또 가축 C가 해결해주므로 꼭 인공적인 해결방안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현실은 농장 축산이 수요와 공급을 맞추지 못해 공장 축산으로 가고 있다. 열악한 사육 환경, 단기간에 성장시키는 촉진제, 죽어라 출산하는 가축 어미들. 그래도 생명체인데 이렇게밖에 못 키울까 싶지만 농촌인구는 감소하는데 가축과 소비자는 증가하니 어쩌면 좋으랴. 또한 도시가 커질수록 농촌에 각종 혐오시설이 세워져 젊은 사람들은 농촌을 떠나고 노인들만 남는 현상도 심각하다. 이렇듯 지금의 축산업은 여러 가지 문제들이 맞물려있었고, 나는 이런 속 사정들을 철저히 외면하며 살았구나 싶어 반성의 시간을 가졌다.


저자가 돼지를 직접 키우게 된 이유인즉슨, 가축의 생명을 존중하며 기른다면 감사의 마음으로 고기를 먹어도 되겠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렇게 먹고 먹히는 자연의 순환과정을 체득하고자 했으나, 잡아먹기 위해서 생명을 기른다는 것이 윤리적 차원에서 엄청난 장벽으로 다가온다. 그럼에도 저자는 초심을 유지하려 직접 도축을 하고 고기를 삼킨다. 그리고 나서 채식을 선언한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농촌 사람들은 대부분 고기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솔직히 환경문제 같은 거창한 이유보다도 수많은 사체를 보고서 육식할 마음이 싹 사라지지 않았나 싶다. 여하튼 이 책으로 채식주의에 대한 시각이 크게 바뀌었다. 그리고 하루빨리 국내의 축산업 환경이 더 좋아지길 바란다. 내가 건강한 고기를 오래오래 먹을 수 있게.


* 저자 인터뷰 : http://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45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종 2021-10-24 14:57   좋아요 4 | URL
고기러버이시군요, 물감님은^^ 저는 미디엄 웰던내지는 김치콩나물삼겹살에 환장하는 채식주의자입니다만ㅋㅋ 고기를 그렇게 맛있게 먹는 니가 할 말은 아니라며 친구들로부터 비웃음을 사기는 하지만 나름 채식주의자임을 설파하고 다닙니다~
정말 제목에 시선이 확 가는데요?^^

개종ㅋㅋㅋ 저자가 귀촌한지 얼마 안 되신 분인가요? 갈팡질팡하게 되는 초반에 쓴 에세이일까요? 이것저것 뒤섞인 생각들로 인해 결이 거친 거겠죠. 뭐든 군더더기없이 깔끔하게 정체성이 잡히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흘러 무르익어야하나 봅니다.
책을 읽어갈수록 편집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느낍니다. 사소한 소제목에서부터 본문의 배열 방식이나 각주, 이미지 삽입 등 디테일한 요소들이 어떠냐에 따라 비슷한 내용이라도 눈길을 더욱 끄는 책이 있거든요.

아주 오래 전에 귀농하신 분이 쓰신 책을 읽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나네요. 오리를 이용해서 잡초 및 해충을 없앤다는 내용이 있었죠. 당시 오리 농법에 대한 내용은 신선한 충격이었어요. 이전까지 관심도 없었고 잘 알지도 못했던 친환경 농법에 관한 이야기를 처음 접했거든요. 농사 방법부터 가축을 키우는 일에 이르기까지 천적을 이용한 방법은 계속 연구되어야 할 분야라는 생각이 들어요. 인간이 조금만 욕심을 버리고 느림을 수용한다면 충분히 공존할 수 있을 텐데 말이죠.

잡아먹기 위해서 가축을 기른다는 건 양심적으로 선뜻 뛰어들기 어려워보이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겠죠. 먹이사슬로 이어지는 생존경쟁이 치열한 생태계에서 필요악 아닐까요. 다만 과도하게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면 용인되어야 할 행위라고 생각해요.
배부른 사자는 먹잇감이 지나가도 거들떠보지 않는다던데. 먹을 것에 대한 인간의 욕심은 냉장고에서 출발되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어요.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필요 이상의 먹이를 욕심부리게 된게 아닌가 하구요. 저장할 수 없다면 썩을 수 있는 유기물은 저절로 나누게 되지 않을까요.
돈도 먹을 것처럼 유통기한이 있어 소멸이 된다면 악착같이 모으려는 사람이 없을 텐데요.ㅋㅋ
닭의 사육 환경을 TV에서 본 적이 있어요. 한동안 닭고기가 달리 보이고 꺼려지기는 하더라구요.

이 모든 생각의 결론은 하나, 인간은 욕심을 줄여야 한다~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댓글을 달았더라면 더욱 많은 의견을 적을 수 있었을 지도 모르는데 읽어보지도 않고 글을 쓴다는 게 조심스럽기는 하네요. 다만 저는 물감님의 리뷰에 대한 리뷰를 한 거라 여기시면 되겠습니다~ㅎ

물감 2021-10-24 20:22   좋아요 4 | URL
말이 러버이지, 그냥 남들이 좋아하는만큼 좋아합니다. 채식도 좋아하고요 ㅎㅎ 일단 이 책은 재미가 있습니다. 초보 귀농인의 좌충우돌 에피소드 모음집이라 피식피식하면서 읽었어요~ 편집자가 방향만 잘 좀 잡아줬으면 좋았을텐데요 ^^;

말씀하신 친환경 농법도 연구하고 잘 살리면 인간과 자연의 공존이 훨씬 나아지겠네요! 그러나 지금의 축산업을 돈벌이로만 보는 사람들과, 필요이상으로 식품에 집착하는 사람들이 있는 한 바뀌기 힘들 듯 합니다. 저번에 읽은 <소송>을 예로들자면 냉장고는 아무 잘못이 없겠네요. 역시 사용자가 문제입니다 ㅎㅎㅎㅎ

평소 채식과 환경문제에 일가견이 있으시니 책을 읽지 않고도 이만큼의 의견을 내시는 게 아니겠어요?ㅋㅋ 그래도 뭐 기회되시면 읽어보시와요~^^ 리뷰에 대한 리뷰, 감사합니다!

coolcat329 2021-10-25 07:19   좋아요 3 | URL
공장식 축산이 전염병, 온실가스주범인건 다 아는데 최소비용 최대생산이라는 경제적 효율성때문에 바뀌기힘든 현실이죠.
동물복지 얘기했다가 그럼 단백질 필요한 가난한사람들은 고기 무슨 수로 먹냐고 따져서 아무말도 못한적도 있네요.ㅠ
근데 참 정육점에서 1 한우 다 외국에서 들여온 GMO옥수수 먹고 근육사이 보기좋게 마블링 낀 고긴데 그게 최상급으로 팔리는게 저는 참 씁쓸합니다. 유전자조작 옥수수 먹고 몸만불린 소 건강이 그게 정상일까요? 아휴 참 답없는 고민입니다.

물감 2021-10-25 13:02   좋아요 1 | URL
맞아요. 저부터 고깃값 올랐다는 말을 들으면 한숨 나오는데 동물 복지를 마냥 지지하기도 어렵고 그러네요ㅠㅠ 환경보호를 위해 해외 수입으로만 돌릴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이렇게 심각한 줄은 몰랐어요. 인간이 더 먹기 좋은 고기를 먹기 위해 가축들이 얼마나 희생을 강요받아야 하는건지 참 많은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