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인 ㅣ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최근에 알라딘 이웃 중 라스티님이 쓰신 ‘작가 수업‘의 서평 중에서 뇌리에 꽂힌 문장이 있었다. 바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독서를 해야 잠재 능력이 개발된다‘는 말이었다. 많은 독자들이 장점 위주로 글을 쓰고 있고, 모든 책마다 별점을 후하게 주는 데에 비해 나는 그렇지 못하다. 내가 워낙 프로까칠러라서 가끔 걱정도 들었는데, 내 시각과 주관이 잘못된 게 아니라는 위로를 받은 기분이었다. 그래서 나는 이대로 계속 가련다. 누구나 쓰는 똑같은 칭찬글은 쓰지 않을 것이다. 여하튼 책 읽고 글쓰기를 좋아하지만 반대로 서평을 쓰고 싶지 않게 만드는 책들도 더러 있다. 보통은 요약이 어렵거나, 포인트를 놓치고 읽었다거나, 나와 맞지 않아서인데, 때로는 이유 없이 싫을 때도 있다. 이 책이 그러했다. 분석하는 재미도 없고, 내용도 그냥저냥에 억지스러운 주제의식 등. 뭔가 있어 보이는 듯한 분위기만 조성하다가 뻔한 결말. 의욕이 확 꺾였지만 뭐라도 작성해보자.
남자친구를 만나러 간 보험사 직원이 교살 당한 시체로 발견되고 남자친구는 행방불명 상태다. 죽은 여자는 조건만남 사이트에서 만났던 다른 남자가 있는데, 사실 범인은 이놈이다. 참고로 이 책은 범인을 찾고 추격하는 추리소설이 아니기 때문에 스포일러는 아니다. 암튼 이 남자는 죽은 여자 소식을 접한 후로 찾아오는 괴로움을 다른 여자를 만나서 해소한다. 그러나 양심에 못 이겨 살인죄를 고백하고 자수하려 하나, 이미 주인공에게 빠진 여자는 주인공을 이끌고 도주를 택한다.
도주한 시점부터 이야기는 힘을 잃었다. 전혀 매력 없는 두 남녀가 꼼지락대다가 붙잡히는 결말은 이미 정해져 있어서, 혹여나 마지막에 뭔가 반전이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없었다. 근데 보험사 동기들 이야기와 다단계에 빠진 할머니 이야기는 왜 한 걸까. 이외에도 스토리에 별 영향 없이 분량만 잡아먹는 불필요한 내용들이 너무 많아서 진도가 나가는 둥 마는 둥 했다. 그리고 사건 추리 내용은 없고, 등장인물들이 각자 딴 얘기만 하고 있어 모두가 사건과 관련 없는 제삼자들 같았다. A를 보여준다 하고 B만 보여주고 있으니, 목적지를 눈앞에 두고 멀리 돌아가는 답답함이었다. 그렇게 각자의 이야기도, 사건의 진실도 따로 노는 답답한 전개에서 마지막에 하나로 엮었다지만 솔직히 작위적이었고, 이쯤 되면 앞서 불필요한 내용들에 대해 불만이 폭발하게 된다. ‘할런 코벤‘의 작품도 이렇게 끝에 가야만 앞의 내용들이 이해되는 경우가 많아서 한번 쓴소리를 했었는데 이 책도 똑같은 케이스다. 이렇게 처음 만난 작가의 첫 작품이 실망스러우면 어쩔 수 없는 선입견이 생겨버린다.
‘악인‘의 사전적 의미는 악한 사람이다. 그런데 이 책은 악인의 기준점을 모호하게 다룬다. 작가는 자신의 생각을 철저히 배제하고 선악의 판단 기준을 독자에게 맡겼다. 그래 좋다. 근데 ‘소중한 사람을 위해서 기꺼이 악인이 된 주인공을 가리켜 이것도 악이라 할수있느냐‘ 를 말하고 싶은 거라면 대단히 실망스럽다. 악의가 있든 없든 범죄자 인건 마찬가진데 단 한 번의 희생정신으로 주인공의 죄가 없어지는가? 악의가 없었다 해도 누군가는 이미 피해를 입었는데 그 사람은 무슨 잘못이 있단 말인가. 그래서 이 책의 주제의식은 억지스럽다고 한 거다. 작가가 쓰고자 했던 ‘진짜 심연‘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았는데다, 악화된 상황에 따른 심리묘사도 빈약하고 부실한데 심연은 무슨 얼어 죽을. 당부족인가, 오늘따라 까칠함이 하늘을 찌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