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 : 실천론.모순론 레볼루션 시리즈 1
마오쩌둥 지음, 슬라보예 지젝 서문, 노승영 옮김 / 프레시안북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마오쩌둥의 책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시대가 오기 전, <모순론>과 <실천론>을 읽었던 세대들의 희열과 뜨거움은 무엇이었을까. 혁명에 대한 갈망이 젊은 혈맥을 맥박질한, 그 시대 정신을 읽어보고 싶은 호기심이 동했다.

   혁명을 박제화하고, 더 이상 꿈꾸지 않는 사회, 혁명을 이야기하면서도 여전히 혁명과 어색한 시대. 마오쩌둥의 어록 속에서 무엇이 그들을 뜨겁게 했고, 울부짖게 했는지 찾아보고 싶어졌다.

   마오쩌둥이 주장하는 인식론의 핵심은 사회적 실천이다. 마오쩌둥은 논리는 소위 일이 되게 하는 외부 규칙이 있고, 인간의 인식이 그 규칙에 부합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이 자신의 사상이나 지식이 외부 세계의 규칙에 부합하도록 하여, 자신이 원했던 결과를 얻으려면, 단순한 교조주의나 경험주의로는 도달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마오쩌둥은 인식의 1단계에서는 각 사물의 현상, 일면, 외부와의 연관성을 인상으로써 취득하고, 사회적 실천을 하다보면 비약적 인식의 질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비로소 인식의 2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 사물의 본질과 전체를 꿰뚫고 내부적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성적 인식은 감성에서 시작되므로, 감각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인식의 심화를 위해서는 이성의 발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실천이 진리를 발견하게 하고, 실천을 통해 진리를 검증하고 발전시켜야한다는 주장, 마오쩌둥이 젊은 혈맥들을 두드린 문구들이었다. 마오쩌둥은 실천-인식-재실천-재인식의 순환을 명령하면서, 관념론과 경험론을 경계했다.

   마오쩌둥은 레닌이 주장한 '대상의 본질 자체에 있는 모순'들의 대립과 투쟁의 현실에서 어떻게 변증법적 역사관을 적용할 것인지도 고민했다. 그의 예리한 관찰력과 예지력은 <모순론>에서 드러난다. 그는 모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그것이 주요 모순인지, 비주요 모순인지 따져야한다며 혁명을 실천한 현실주의자로서의 면모를 정확히 드러냈다. 그의 주요 모순, 비주요 모순론 덕분에 국공합작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 투쟁의 명분을 획득했고, 다시 국민당과의 투쟁 속에서도 공산주의 혁명 명제의 선명성을 과감하게 드리울 수 있었다.

   <문건주의 반대>에서 언급한 '조사하지 않으면 발언권도 없다'는 선언은 신선하기까지 했다. 조사가 없으면 계급 평가와 사업이 관념화되며, 정확한 투쟁 전술을 펼칠 수 없다고 지적한 점, 계급을 세분화하여 조사하여야 할 대상을 구체화 한 점이나 조사시 누가 참석하고, 어떻게 회의를 하며, 공산당원 스스로 조사하고 철저히 기록하도록 주의를 기울인 대목은, 아이러니하게도 경영학의 대부 피터 드러커의 경영 지론과도 닮았다.

   마오쩌둥은 세계의 모든 사물과 종류는 변화하지 않고 정적이라는 형이상학적 역사관과 달리, 유물론적 변증법적 역사관은 사물 내부의 모순에 따라 발전해간다고 주장했다. 또 그가 주장한 <인식론>에 따르면 그는 정해진 외부 규칙이 있고, 그 규칙에 부합하게 인식을 객관화해 나가는 것이 모순의 대립을 뚫을 수 있는 운동의 본질이라고 규정했다. 그런데 결국 따져보면 그가 주장하는 유물론적 변증법도 형이상학적 역사관이 주장하는 바처럼 종국에는 어떤 변화되지 않는 이상적인 궁극의 정적인 세계가 있다는 전제 하에 그와의 간극을 좁히려는 추동일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책을 읽고 나니, 모순론과 실천론의 대가가 어떻게 대약진 운동을, 그렇게 관념적이고 경험적으로 몰아붙여 실패에 이르게 했는지 그 과오에 의문이 생겼다. 바닥으로부터의 혁명을 이룬 그가 왜 권력의 정점에 이르자 조사하고, 실제로부터 인식하고 실천하는 전술을 체계적으로 세우지 못했는지 궁금해진다.

  그럼에도 어쨌든 이념과 사상을 떠나 마오쩌둥의 책을 읽어야하는 이유를 꼽으라면, 이 '추동'에 초점을 맞춰야하지 않을까 싶다. 머리 속에 그려진 이상을 이야기하면서, 왜 현실과 차이날 수 밖에 없는지 설명하고 추론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어떻게 이룰 것인지 고민하자는 혁명론, 그것으로 가슴이 뜨거워지고 싶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